•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충청남도 관사촌 주임관사 배치 및 건축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llocation and Architectural Design Characteristics of Juimgwansa in Chungcheongnam-do Gwansachon)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5.02
8P 미리보기
충청남도 관사촌 주임관사 배치 및 건축 특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 17권 / 1호 / 117 ~ 124페이지
    · 저자명 : 이정수, 권흥순, 황보영희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총독부 관사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충청남도 관사촌의 특징을 고찰함으로서 1930년대 총독부 관사의 건축계획적 특징을 밝혀내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충청남도 관사촌의 관사들은 규모로 보아 주임관사 4, 5급으로 추정되며, 속복도 형식과 응접실 설치 등을 통해 당시 고위급 공무원의 생활 양식(공사 영역의 구분, 고용인 공간과 주인 공간의 분리, 온돌의 적용 등)이 잘 나타나고 있다. 둘째, 충청남도 관사촌은 표준화된 평면을 단독주택 형식으로 단지화하는 수법을 읽을 수 있는데, 충남남도 지사관사를 중심으로 서고동저의 지형적 특성내에서 개별관사를 규모와 이용자의 위계에 따라 지형, 도로와 출입구, 그리고 향에 따라 배치하고 있다. 셋째, 표준형 평면을 적용하여, 관사로서의 응접과 사적공간을 구분하는 표준형 평면이 적용되었다. 넷째, 입단면 구성은 전체적으로 붉은벽돌에 의한 화란식 쌓기(和蘭式組積, dutch bond)로 되어 있으며, 돌출창호를 위해 콘크리트 캔틸레버 빔 사용, 화란식 쌓기를 통한 벽돌 장식쌓기, 굴뚝의 수직적 요소 등 근대시기 화양절충식의 건축 디자인적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verify the architectural design characteristics of Chungcheongnam-do Gwansachon(official residences) which were built after relocation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at 1932. We reviewed national historical documents and surveyed the buildings in the viewpoint of official class and transitional properties of Western and Japanese housing styles to Kore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First, the types of Chungcheongnam-do Gwansachon were built for 4,5th grade Juim(superviser) and has housing size regulations. Second, the standard prototypes were allocated at T-shape road and have horizontally long and sloped housing lots. Third, the housings are divided into semi-public(reception or guest room) and private space(living, bedroom, kitchen and etc) and have center corridor type, the southwards contains living, bedroom and the northwards contains porch, kitchen, servant room, toilets, and etc. Fourth, the Chungcheongnam-do Gwansachon are characterized according dutch style red brick, round reception room and windows and horizontal cantilevered beam above windows. Chungcheongnam-do Gwansachon shows transitional properties of Western and Japanese housing styles to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