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중학교 장단 지도 내용의 연계성과 지도 위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grade and Inter-school Connectivity and the Teaching Hierarchy for the Jangdan Instruction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0.08
34P 미리보기
초․중학교 장단 지도 내용의 연계성과 지도 위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악교육연구 / 14권 / 2호 / 353 ~ 386페이지
    · 저자명 : 한윤이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음악 교과서 총 62종을 중심으로 교과서에 제시된 장단 지도 내용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초・중학교 장단 지도 내용의 지도 위계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초・중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장단 관련 내용을 장단의 종류, 지도 내용 요소, 연주법, 기보법, 제재곡 등으로 구분하여 학년군별로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장단의 지도 내용에서 단순 반복에 해당하는 계속성과 학년군 간에 확대 반복되는 계열성이 나타났다. 연주법과 기보법 그리고 지도 내용 요소에서는 심화 반복되는 계열성이 보이기도 하였으며, 지도 내용 요소에서는 요소를 통합하여 지도하는 통합성도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교과서에 제시된 장단의 지도 내용은 전반적으로 연계성을 잘 갖춘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장단 지도 내용의 연계성 분석 결과 몇 가지 개선해야 할 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초등학교의 학년군 간 연계성은 잘 갖추어져 있었으나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학교급 간 연계성은 미흡하였다. 따라서 중학교 음악 교과서를 개발할 때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내용을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둘째, 일부 장구와 소리북 장단의 구음이나 부호가 통일되지 않았다. 학습 효과를 고려하여 장단 구음과 기호의 통일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셋째, ‘기본형, 변형, 다는형, 맺는형’ 등 동일 내용에 사용되는 용어가 달라 개념 이해에 혼동을 줄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장단 개념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 ‘기본형, 다는형, 맺는형’으로 통일하도록 제안하였다.
    장단 지도 내용의 연계성 분석을 기초로 일반적인 장단 지도 내용의 위계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장단 지도 내용의 연계성이 미흡한 부분을 개선하고 학교급 간 연계성 확보를 위한 초・중학교 장단 지도 내용 선정에 중점을 두었다. 지도 위계를 설정할 때 교과서 분석 결과를 상당 부분 반영하였으나 교과서 간에 견해가 다양한 부분은 학습 내용의 난이도, 내용 간 연계 학습의 가능성, 학습 효과 등을 고려하여 체계를 세웠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장단의 학습 활동에 대한 연계성 고찰과 지도 위계 설정이 이루어져서 장단 지도 개념의 총체적인 지도 체계를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nnectivity of the jangdan instruction presented in 62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based on the analysis, set a universal teaching hierarchy of the jangdan instruction content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o this end, the study classified all the contents related to jangdan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into types of jangdan, teaching elements, performing techniques, notations, and musical pieces for in-class use and analyzed them by grade cluster. The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a continuity corresponding to simple repetition in the instructional contents for all the jangdan types and a sequence of extended repetition between grade clusters. There was also a sequence of intensified repetition in performing techniques, notations, and teaching elements and integrated instruction in teaching elements. This shows that the teaching contents for jangdan presented in the textbooks are well linked throughout the grades in general.
    However, there are some areas for improvement. First, there is sufficient connectivity between the grade clusters in elementary schools while insufficient connectivity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us, considering the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is needed when developing middle school textbooks. Second, the gueum notation and signals of some jangdan for the janggu and the drum were not standardized. For better learning effects, the standardization of the gueum notation and signals is needed. Third, there was a risk of confusion due to differences in terminology used in the same concept as in ‘byeonhyeong (변형)’ and ‘daneunhyeong(다는형).’ For a clear understanding,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it as ‘daneunhyeong.’ This study focused on improving the unsatisfactory connectivity of the jangdan instruction and selecting the teaching contents of jangdan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o secure the linkage between school levels. When setting the teaching hierarchy, it reflected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to a substantial extent but considered the difficulty of learning contents, the possibility of interlinked learning, and learning effects for the areas in which varied opinions occur among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teaching system of the jangdan instruction by examining the connectivity in learning activities and setting the teaching hierarchy for other jangdan types that were not covered in this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악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