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나말려초 ‘묘관찰지인’ 아미타불상의 출현과 의미 (The Appearance and Meaning of ‘Myogwanchalji-in’ Amitabha Buddha in Late Silla and Early Goryeo)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0.02
28P 미리보기
나말려초 ‘묘관찰지인’ 아미타불상의 출현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39권 / 77 ~ 104페이지
    · 저자명 : 정진영

    초록

    신라 통일기 아미타불상의 손 모양으로는 시무외·여원인, 촉지인, 전법륜인, 묘관찰지인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여러 부처가 함께 공유한 통인으로서엄밀히 말하면 아미타불만의 도상은 아니다. 때문에 존명 판가름의 절대적인 기준이 되지는 못한다. 그러나 묘관찰지인은 다르다. 묘관찰지인은 오직 아미타불만이결할 수 있는 별인으로, ‘묘관찰지인상=아미타불상’이라는 변하지 않는 공식을 성립케 하는 매우 중요한 도상이다.
    문제는, 묘관찰지인이 금강계 중기밀교의 대표 도상이라는 데에 있다. 잘 알려진 대로 신라 통일기 중기밀교의 실체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관련 기록 및 미술품이 현존하지 않을뿐더러, 더욱이 밀교의 일부 도상들, 예를 들어 지권인, 7사자가표현된 연화대좌, 보관 등은 화엄과 선종 사찰에 봉안된 비로자나불상의 도상으로서만 등장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9~10세기 조성된 묘관찰지인상 역시 밀교의 인상이 표현되었을지언정 중기밀교의 아미타불상과는 신앙면에서 차이가 있다고 결론하였다. 즉, 묘관찰지인의 수인이 단순히 아미타불의 표식으로서 차용되었다고 보았다. 왜냐하면묘관찰지인의 상이 봉안된 사찰 및 관련 기록 어디에도 중기밀교와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없으며, 뿐만 아니라 신라 통일기 중기밀교는 독자적인 존상을 조성할 수준만큼 조직화, 체계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밀교의 도상이 현교 아미타불에 표현된 배경에 관해서는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우선, ①지권인의 비로자나불상이 훌륭한 선례의 역할을 하였다고 보았다. 지권인을 결함으로 인해 비로자나불의 의미가 구체화되고 강조된 사실은 밀교 도상에 관한 호의적인 분위기를 조성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②묘관찰지인이 9~10세기의 아미타신앙의 성격과 가장 잘 부합했기에 자연스레 선택되었을 수 있다. 묘관찰지인은 ‘禪定’ 및 ‘三昧’의 뜻을 갖는 수인이며, 실제로 묘관찰지인상이 조성되는 9~10세기의 아미타신앙에서는 선정삼매를 위한 염불의 수행법이 강조된다. 구체적으로, ‘선정삼매=염불’의 개념을 전한 廬山 慧遠(334-416)의이름이 여러 선사들의 비명에서 확인되며, ‘혜원이 서방정토에 가기를 발원한 것처럼’, ‘혜원의 도를 힘입어’, ‘혜원의 뜻을 추종하여’ 등의 문구들은 그 영향력을 짐작케 한다. 마지막으로, ③중국으로부터 유입된 새로운 도상이 변화의 자극제가되었을 수 있다. 실제, 묘관찰지인의 상이 봉안된 사찰 대부분은 중국으로부터 새로운 문화의 수입이 용이한 교통 요지에 위치해 있으며, 조성시기 역시 입당 유학승들이 대거 귀국하는 시기와 가깝기 때문이다.
    한편, 아쉽게도 묘관찰지인의 상은 9~10세기 아미타불상의 한 유형은 형성했을지언정 주류가 되진 못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묘관찰지인의 도상은 9~10 세기 아미타신앙을 둘러싼 다양한 변화들을 시각적으로 증명하며, 나아가 밀교의도상이 신라 불교에 거부감 없이 수용되었음을 확인시켜 주는 사례로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Fearlessness and Wish-granting Mudra (施無畏與願印), Touching Mudra (觸地 印), Wheel-turning Mudra (轉法輪印), and Myogwanchalji-in (妙觀察智印) are all the typical hand gestures of Amitabha Buddha statue created in the Unified Silla. Most of these hand gestures are the Shared-mudra (通印) which means they are not the only icon for Amitabha Buddha. In other words, it can not be the absolute standard for the judgement of Amitabha, but Myogwanchalji-in is exceptional. Myogwanchalji-in is a significant icon gestured only by Amitabha Buddha.
    The issue is Myogwanchalji-in is the representative icon of Diamond Realm (金剛界)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中期密敎). As widely known, the existence of Middle Esoteric Buddhism during the Unified Silla is still unclear.
    The related historical record nor the art work do not exist today. In addition, a few of Esoteric Buddhism icon, such as Wisdom Mudra (智拳印), Seven Lions Pedestal (七獅子臺座), Crown (寶冠), appear as Vairocana Buddha Statue icon enshrined in Hwaeom and Zen Temple.
    The paper concluded that although Myogwanchalji-in, created in 9~10th century, manifest the Esoteric Buddhism Mudra, the religious belief is distinguished from Middle Esoteric Buddhism’s Amitabha. The Myogwanchalji-in was simply adopted as a symbol of Amitabha. Because the Buddhist Temple, where it is enshrined, and the related record show unattributable relation with Middle Esoteric Buddhism. Moreover,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was not organized nor systemized to create independent sacred image of buddha during the Unified Silla.
    This paper also presents three objectives of the reason why Esoteric Buddhism icon was expressed in Exoteric Buddhism. First, Vairocana Buddha Statue established a good precedent. Due to the hand gesture of Wisdom Mudra, Vairocana Buddha's identity was highlighted which creates an sympathetic atmosphere of Middle Esoteric Buddhism icon. Second, Myogwanchalji-in was chosen due to a good chemistry with 9~10th century Amitabha Faith. During the period, Amitabha Faith emphasized the Buddha chanting (nianfo) for 'Meditation (Dhyana)' and 'Samadhi (serenity)' which in line with the meaning of Myogwanchalji-in. In detail, the name of Lushan Hui-yuan (廬山 慧遠, 334-416), who spread the Buddha chanting for 'Meditation' and 'Samadhi', was found on various Zen Monks’ epitaph. Last, the influx of new Buddha icon from China could be the stimulant of changes.
    Most of the Buddhist Temple, where Myogwanchalji-in is enshrined, are located in major logistic herb of importing new culture from China. Also the creation period of Myogwanchalji-in was close to the time when Silla monks returned home from Tang (唐).
    Unfortunately, Myogwanchalji-in was not the majority but just one of 9~10th century Amitabha Buddha‘s mudra. However, the significance of Myogwanchalji-in visually showed the diversity change of 9~10th century Amitabha Faith and proved Silla Buddhism accepted Esoteric Buddhism icon without any antipath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