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宣祖初 文廟從祀 論議와 道統論의 變化 (The Request of Enshrinement of Scholars in Munmyo(文廟) and the Change of Dotong(道統) Doctrine in the era of King Seonjo)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08.12
36P 미리보기
宣祖初 文廟從祀 論議와 道統論의 變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31호 / 329 ~ 364페이지
    · 저자명 : 김영두

    초록

    기묘사화와 을사사화 이후에도 사림 세력은 도통론에 기반한 정치 이념의 공식화를 끈질기게 추진하였다. 그것은 자신들의 정치적 정통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 줄 뿐만 아니라, 왕권의 독단을 견제할 수 있는 이상적인 이념이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鄭夢周—金宏弼로 이었던 도통의 계보를 발전시켜 鄭夢周—吉再—金淑滋—金宗直—金宏弼—趙光祖로 이어지는 ‘朝鮮道學系譜’를 창출하였다. 성종대 사림 세력의 영수로 추앙받았던 김종직, 조선초부터 전조의 충신으로 인정받았던 정몽주와 길재, 그리고 길재와 김종직의 학문적 연결을 가능하게 해준 김숙자 등으로 정몽주로부터 김굉필, 조광조에 이르는 擬制的 師承 관계의 單線 계보를 만들어 낸 것이다.
    ‘조선도학계보’는 선조 초년에도 상당히 유포되어 조광조의 추증 및 문묘종사의 근거로 제시되었다. 하지만 이 시기가 되면 새롭게 ‘四賢’ 개념이 형성되는데, 사현이란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을 가리킨다. 이는 명종말 이황의 절대적인 영향 아래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데, 선조 원년 이미 사현의 문묘종사가 요청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머지않아 이황이 세상을 떠나자 그를 포함한 ‘五賢’ 개념으로 발전한다. ‘조선도학계보’는 선조초 복권된 을사사화의 피화인들을 중심으로 주장되었던 반면, ‘오현’ 개념은 상대적으로 젊은 성균관 유생들에 의해 제기되었다.
    오현 개념은 시기적으로 ‘조선도학계보’보다 뒤에 형성된 것이기도 하지만, 사상적으로도 ‘절의’ 위주에서 벗어나 주자학의 이론적 성취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李彦迪과 李滉이 오현에 포함될 때 중시되었던 근거가 그들의 학문적 성취였다. 이러한 경향은 명종대 이루어졌던 주자학의 새로운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After purges in 1519 and 1545, Sarim tenaciously claimed the public recognition of political ideals based upon thd Dotong doctrine. For not only could it bring political legitimacy to them, but it also was an ideology, which could be utilized for constraining king's arbitrariness. They developed the genealogy of the Dotong of ‘Jeong Mong-ju and Kim Goeng-pil’, into the “legitimate transmission of Dohak in Joseon Dynasty(朝鮮道學系譜)”, namely, ‘Jeong Mong-ju—Gil Jae—Kim Suk-ja(金淑滋)—Kim Jong-jik—Kim Goeng-pil—Jo Gwang-jo’. To put more clearly, they made a lenear geneology, putting together Kim Jong-jik who was respected as the leader of the sarim in the reign of Seongjong, Jeong Mong-ju and Gil Jae who was regarded as royal subjects of the previous dynasty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and Kim Suk-ja, who made possible a scholarly connection between Gil Jae and Kim Jong-jik. It was a genealogy from Jeong Mong-ju through Kim Goeng-pil toward Jo Gwang-jo, based upon the pseudo-relationship between master and disciple.
    The ‘legitimate transmission of Dohak in Joseon Dynasty,’ which was widely spreaded in the early years of King Seonjo, was presented as the basis for the enshrinement of Jo Gwang-jo in the Confucius's Shrine. But in this time the new concept of ‘Four Sages(四賢),’ designating Kim Goeng-pil, Jeong Yeo-chang(鄭汝昌), Jo Gwang-jo, and Yi Eon-jeok(李彦迪), came into being. It began under the absolute influence of Yi Hwang(李滉) at the late years of King Myeongjong, and the request of enshrinement of Four Sages began to arise. Shortly after the death of Yi Hwang, the concept of Four Sages changed into that of ‘Five Sages(五賢)’ including Yi Hwang himself. While the ‘legitimate transmission of Dohak in Joseon Dynasty’ was claimed by martyrs of the Purge in 1545 whose rights had been restored, it were the relatively young students at the National Academy who raised the concept of ‘Five Sages.’
    Chronologically, the concept of Five Sages emerged later than the ‘legitimate transmission of Dohak in Joseon Dynasty’; also from the viewpoint of thoughts, it showed a tendency to stress the theoretical achievement of Neo-Confucianism on the contrary to the previous tendency to put emphasis on the idea of ‘loyalty(節義).’ The ground upon which Yi Eon-jeok and Yi Hwang could be included into Five Sages was nothing but their scholarly achievements. It reflects a new trend of Korean Neo-Confucianism in the era of King Myeongj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