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麗末․朝鮮初 司饔의 성격과 역할 (Attributes and Roles of Saong During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3.06
24P 미리보기
高麗末․朝鮮初 司饔의 성격과 역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45호 / 159 ~ 182페이지
    · 저자명 : 김윤정

    초록

    고려말 사옹은 전국에 산재한 여러 가마터에서 내용자기의 제작을 監督하고 收取해오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사옹은 禑王代(1374~ 1388) 관직 남발로 설치된 첨설직이면서 民財를 사적으로 갈취하는 등의 많은 문제를 야기하였다. 개혁 儒臣이었던 조준은 당시 사선서와 직무가 중복되는 사옹의 혁파를 주장하였다. 그러나 상당 기간 동안 제 기능을 못했던 사선서에서 內用瓷器의 監造 및 收取를 담당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이미 수백 명의 차비가 소속된 사옹 조직을 일시에 혁파할 수 없었다.
    조선초에 사옹은 1405년에 사옹방으로 吏曹에 편제되었고, 적어도 1417년까지 궐내 사용되는 자기의 수취를 담당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사옹방은 왕실의 주요 구성원이 머무는 대전, 중궁전, 세자전에 설치되어 內膳 供上을 담당하였지만 주요 구성원이 내시나 별좌로 이루어진 품계가 없는 기구였다. 그러나 왕실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친왕실 성향의 인물이 사옹제조에 임명되는 등 왕실 직속 기구의 성격을 유지하였다. 또한 사옹방에 器皿만 담당하는 사람이 배치되었다는 점이나 그릇을 분별하여 사용해야 하는 등 왕실용 자기와 관련된 사옹방의 역할을 볼 수 있다. 결국 정식 관사였던 사선서는 폐지되고, 직급이 없는 왕실 직속 기구였던 사옹방이 1467년에 정3품의 정식 행정 관사인 사옹원로 개칭되고, 왕실용 자기를 제작하는 업무까지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roles of Saong, the king’s attendants as royal chefs, included supervision and acquiring of the royal celadons produced at many kilns scattered around the country at the late Goryeo period. Jun Cho strongly insisted that the roles of Saong should be changed, as the roles of Saong were overlapped with those of Saseonseo and Saong caused many problems of abuse of private assets despite the honorary titles overissued in the reign of King Woo. However, it was impossible to fully abolish the organization of Saong, including several hundred of lower-level officials, and Saseonseo, which had not properly performed for a long period, could not replace the roles of supervision and acquiring of the royal celadons.
    In the early Joseon period, Saong was included to the organization of Ijo as Saongbang in 1405. It is estimated that Saong had taken charge of acquiring of royal wares use until 1417 at least. Saongbang, the organization of royal cuisines, managed affairs related to service royal food by being installed at Daejeon (the King’s palace), Junggungjeon (the Queen’s residence) and Sejajeon (the Prince’s residence) where key members of the royal family stayed, but the organization had no official ranks such as Naesi or Byeoljwa. Nevertheless, Saongbang remained to be the organization directly reporting to the royal family, as seen in the fact that the person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royal family were appointed as Saongjejo.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re was a person dedicated to management of tableware at Saongbang and the fact that it was the norms to distinguish tableware for use well illustrate that Saongbang took the roles related to tableware for the royal family. Later, Saseonseo, the office of royal cuisines, was abolished and Saongbang, which was a royal organization with no official ranks, was renamed as Saongwon in 1467. As the official administrative office of the 3rd rank of Jeong, Saongwon took charge of production of the royal wa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