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초 남중국 국가와의 교류 (Diplomacy of Goryeo with the Ten Kingdoms in South China at the Early Goryeo Dynasty)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4.06
42P 미리보기
고려 초 남중국 국가와의 교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24호 / 219 ~ 260페이지
    · 저자명 : 허인욱

    초록

    고려는 건국 초기부터 중국과 정치‧문화‧경제 등의 다양한 방면에서 교류를 행하였다. 고려는 오대십국五代十國 가운데, 민閩‧오吳‧남당南唐‧오월吳越 등과 교류를 지속하였는데, 이 국가들은 중국의 서해와 남해안을 끼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십국 가운데서도 해로를 통해 비교적 접근이 손쉬운 지역들에 해당된다.
    고려와 민의 사행 교환은 민이 존속한 기간이 짧으며, 고려의 안보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기 어려운 복건지역에 위치한 탓인지 정치적인 면모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 이는 오월 또한 마찬가지였다. 오월의 경우에는 고려보다는 후백제와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에 양국의 교류는 후백제가 멸망하는 937년에 가서야 이루어졌다. 고려와 민 또는 오월과의 관계에서 주목되는 사실은 불교 교류가 왕성했다는 점이다. 민의 군주들은 저명한 선사들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하고 사찰을 중수하거나 건설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 복건지역이 선종의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점하였던 탓이었다. 민의 멸망 후에는 복건의 일부지역을 차지한 오월 또한 불교진흥에 힘을 쏟아 불교가 매우 발달하였고, 고려가 이를 받아들인 것이다.
    고려와 오‧남당의 교류는 919년에 고려가 오에 사신을 파견하면서 이루어졌다. 이후 고려는 이변李昪이 오의 예제睿帝로부터 선양禪讓을 받아 남당을 건국하자 축하사절로 유훈률을 파견하였으며, 이후에도 매년 사신을 파견하며 우호관계를 유지했다. 후백제가 멸망하기 전까지 고려는 오‧남당과의 외교를 통해, 후백제-오월의 관계를 견제하고자 했던 것이다.
    고려와 남중국과의 관계에서 보이는 특징의 하나는 고려와 남당과의 관계에서 볼 수 있듯이 대등한 입장을 취했다는 점이다. 고려는 황제에게 보내는 서식인 표表가 아닌 황태자에게 보내는 전箋을 보냈으며, 신臣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도 않았던 것이다. 남당도 이를 거부하지 않았다. 대등한 국가임을 인정한 것인데, 여기에는 당시 고려를 강국으로 인식한 탓이 컸다. 이러한 태도는 오월과의 관계에서도 별반 차이가 없다. 고려가 대등한 입장에서 외교가 가능했던 것은 외부적으로는 중국이 오대십국으로 분열되어 있어 국제관계를 주도할 수 있는 세력이 나타나지 못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아울러 여기에 고려가 일본이나 제주도 그리고 만주지역까지 영향을 미치는 강국으로 성장했다는 내부적인 자신감도 그러한 외교를 가능케 한 하나의 원인이었을 것으로 파악된다.

    영어초록

    Goryeo had a variety of diplomacy with China in many areas such as politics, cultures, and economy even from the founding of the nation. Among the Five Dynasties and Ten Kingdoms, in particular, Goryeo maintained exchanges with Min, Wu, Nan Tang, and Wuyue, which were located near the west and southern seas of China in common. They were relatively easy accessible kingdoms through the seaway among the Ten Kingdoms.
    The exchange of envoys between Goryeo and Min had rarely politically motivated since the era of Min was short while Min was located in the Fujian province, which was too far to influence the security of Goryeo. The nature of exchange with Wuyue was also the same. Wuyue was in a closer relationship with Hubaekje than Goryeo and the exchange between Wuyue and Goryeo started late in 937 only after the fall of Hubaekje. The noticeable fa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Min and Goryeo and Wuyue was that exchange of Buddhism was flourishing. The lords in Min supported prominent monks actively and renovated or constructed temples with much effort so that the Fujian province became the center of the Zen Buddhism. Wuyue that took some of the regions in the Fujian province after the fall of Min also promoted Buddhism so that the Buddhism flourished under Wuyue, which was accepted by Goryeo.
    The exchanges between Goryeo and Wu and Goryeo and Nan Tang started as Goryeo dispatched an envoy to Wu. Since then, Goryeo sent an envoy Yu, Hoon-Ryul to celebrate the founding of Nan Tang as Emperor Ruidi of Wu issued an edict granting Li Bian (a.k.a. Xu Zhigao) with the commission to found Nan Tang. Goryeo then sent envoys to Nan Tang every year to maintain the friend relationship. Goryeo aimed to keep the relationship between Hubaekje and Wuyue in check through the diplomacy with Wu and Nan Tang until the fall of Hubaekje.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the Ten Kingdoms in Central and South China was to maintain the equal footing as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Nan Tang. This equal relationship was revealed in the official correspondence that Goryeo did not use biao (表) which was submitted to the Emperor but used jian (箋) which was submitted to crown prince without using a term subject (臣). Nan Tang did not reject but acknowledged the idea of equal position, which indicated Nan Tang regarded Goryeo as a strong nation. Such attitude was not much different in the relationship with Min or Wuyue.
    Goryeo had a multilateral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nations in the Central Plain of China the Five Dynasties and Ten Kingdoms Period, which can be possible only based on the equal and independent relationship that was not dominated by a particular coun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