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을공동체신앙과 생태민속-하회별신굿의 생태민속학적 해석- (Village Community Religion and Ecological Folklor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0.04
25P 미리보기
마을공동체신앙과 생태민속-하회별신굿의 생태민속학적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41호 / 163 ~ 187페이지
    · 저자명 : 조정현

    초록

    하회마을에서는 생태학적 배경 및 문제에 대한 주술․종교적 대응으로서 공동체신앙이 발전하게 되었고 이러한 제의양식의 절정으로서 별신굿을 벌여왔던 것이다. 각 성씨들의 세거 과정을 반영하며 3개의 당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으며, 자연재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이라는 존재와 용신제적 성격을 활용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헛천의 존재는 마을 내에 건조된 건축물들의 방위를 결정짓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하회마을의 건축물은 제각기 강변 쪽을 바라보면서 조성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으로 이야기되었지만 그 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한 답이 없었다. 홍수로 인해 헛천이 형성되면 하회마을은 완전한 섬과 같은 형태를 띠게 된다. 따라서 화산이라는 주산 대신에 마을 내 중심부의 높은 지대를 기준으로 배산임수의 일반적인 규범을 따라서 집을 지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피천석 전설에서 알 수 있듯이 낙동강 지류인 화천의 범람은 하회마을의 지형을 바꾸어놓을 만큼 큰 사건이었다. 또한 헛천거리굿에서 파악할 수 있듯이 화천이 범람하면 생기곤 했던 헛천에서 무당의 마지막 거리굿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비상시의 수구에 해당하기 때문에 마지막으로 특별히 위해주어야 탈이 나지 않는다고 여겼던 것이다. 헛천의 상류 시작 지점인 강신터로부터 굿을 시작하고 헛천의 하류 끝 지점에서 별신굿의 마지막 제차인 헛천거리굿을 벌였다는 사실로부터 하회마을의 별신굿이 홍수피해를 막는 동시에 풍요와 다산까지 빌기 위한 제의였음을 알 수 있다.
    자연재해에 대한 하회마을 주민들의 공포는 남달랐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하회마을뿐만 아니라 자신들이 소유하고 있는 경작지들이 대부분 낙동강의 영향을 받는 풍산들이었기에 수해에 대한 대비책을 만들어야 했을 것이다. 이때 문제해결 방법 중 하나로 ‘별신굿’이 더욱 강조되었을 것이다. 이렇게 보면 하회별신굿탈놀이의 백정마당은 용에게 희생제의를 올리기 위해 제물을 마련하는 과장에 다름 아니다. 자연을 살아있는 생명체로 여기고 그들을 위로하면서 희생제물을 바치는 등의 일련의 과정은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자연과 공생하기 위한 노력에 다름 아니다.

    영어초록

    A lot of ecologists have paid a proper attention to importance of adaptation in non‐technological and non‐economic aspect of culture. In Hahoi village, community religion has been developed as shamanistic and religious response to ecological background and problem. As a peak of such a ritualistic style, Byeolsingut has been carried out. Reflecting the process of residing for each family name’s generations, three family shrines have been kept until now. To settle problems of natural disaster, the study could see that they utilized existence of ‘Yong (dragon)’ and personality of Yongsin (dragon god) rites.
    It is judged that existence of Heotcheon was an important index of deciding directions of buildings constructed within the village. The buildings of Hahoi village are respectively constructed toward the direction of riverside. However, there were no distinct answers to its cause. If Hutcheon is formed by flood, Hahoi village has the same form as a perfect island. Therefore, it can be analyzed that buildings was constructed by general norm of Baesanimsu, literally meaning that the ideal house is built with a mountain in the back and a river in the front, in the standard of high area of the center within the village instead of the main mountain which was Mt. Hwasan.
    As we can see from the Pee Chun‐Seok’s legend, overflow of Hwacheon River, a branch of Nakdong River, was a large disaster as much as changing the topography of Hahoi village. Also as we can grasp from Hutcheon Georigut, the final Georigut of a shaman is carried out at Hutcheon made when Hwacheon River is deluged. It was thought that something would not wrong when they soothed the river finally since Hutcheon was pertinent to a breakwater in emergency. The gut was started from Gangsinteo which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upper region of Hutcheon and Hutcheon Georigut, the final ritual of Byeolsingut, was carried out in the end of the lower reaches of Hutcheon. Through the above, the study could see that Byeolsingut of Hahoi village was a ritual for abundance and fecundity as well as preventing damage from flood.
    It was judged that terror of residents at Hahoi village for natural disaster would differ from others. It was also judged that they should prepare for flood damage since most of their farmlands as well as Hahoi village were Pungsan Field where had an effect on Nakdong River. At that time, it was thought that ‘Byeolsingut’ would be emphasized as one out of ways to settle the problem. Regarding nature to be a living body and a series of process such as sacrifice ritual and embodying carried out to soothe nature were their efforts to live together with nature and to coexist with 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