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역의 효체와 효위에 대한 新釋 - 이동성과 부동성을 중심으로 (A New Analysis of Yaoti and Yaowei in ZHOUYI : Focusing on Mobility and Immobilit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22.12
27P 미리보기
주역의 효체와 효위에 대한 新釋 - 이동성과 부동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 / 58호 / 5 ~ 31페이지
    · 저자명 : 윤석민

    초록

    교통수단과 IT기술의 빠른 발전과 융합에 따라, 우리는 과거 경험하지 못한 이동의 편재성을 확인하고 있다. 이동의 편재성은 존재의 운동에 관한 철학적 논의 속에서 주요하게 다뤄져왔다. 특히 동아시아의 주역철학은 생성과 운동, 이동과 윤리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논구해왔다. 『역위』에서 언급한 變易과 不易의 개념은 주역철학으로 모빌리티 사회를 해석하고 그 윤리를 실천하는 데에 매우 적합한 개념이다. 『주역』에서 爻體는 변역의 주체로 나타나고, 爻位는 효체의 상하왕래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불역의 주체로 나타난다. 효체는 효위라는 구체적 시공간으로서의 장소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이동을 시작한다. 즉, 효체는 효위의 비장소성에 대한 反思와 윤리실천으로 효위의 장소성을 획득한다. 효체의 효위에 대한 인식은 반성적 사고와 윤리실천을 통해서 가능하고, 그 이동도 그로부터 가능하다. 효체는 효위의 장소성을 발견해내듯, 이동주체는 장소의 의미를 체득해간다. 그런데, 『주역』에서 효체의 반사와 윤리실천은 길흉회린 등 가변적 점사의 획득을 가능하게 한다. 즉, 점사의 가변성은 효체의 반사와 윤리실천의 결과다. 결론지어 말하자면, 모빌리티 권력의 평등, 시민참여가 모빌리티사회 공동체가 실현해야할 의무이자 권리라고 한다면, 주역철학에서 효체에게 요구하는 반사와 윤리실천은 그러한 의무와 권리를 실현할 이동주체의 동력이 된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the rapid development and convergence of transporta-tion and IT technologies, we are witnessing the unprecedented ubiquity of mobility. In philosophy, the universality of movement and the motility of existence has been one of the main themes for all times and places. In particular, Zhouyi Philosophy in East Asia has long dealt with the ethical issues of human society with the weltanschauung of movement and change. In the Zhouyi texts, Yaoti(爻體) can be deemed the substance of changeability, while Yaowei(爻位) construed as the substance of unchangeability enables the upward and downward mobility of Yaoti. Yaoti initiates mobility by being aware of the place as the concrete space-time of Yaowei. Put differently, Yaoti acquires the placeness of Yaowei by the reflection on the placelessness of Yaowei as well as by the relevant ethical practice. In the same manner that Yaoti comes to recognize the placeness of Yaowei, the moving subjects come to learn the meaning of the place (placeness). Moreover, in the Zhouyi text, the reflective thinking and ethical practice of Yaoti allows the changeability of divining statements, such as good or ill luck. That being the case, the changeability of divining statements is nothing but the effects of the reflective thinking and ethical practice of Yaoti. As long as the equality of mobility power and the relevant participation of citizens are the duties and rights of the communities in the mobility society, the reflective thinking and ethical practice of Yaoti in the Zhouyi Philosophy has the potential to empower the moving subjects to actualize the duties and rights of the commun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