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붓다의 다비의식에 담긴 공동체의 변화 (Changes in Community through the Buddha's Crem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07.11
24P 미리보기
붓다의 다비의식에 담긴 공동체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도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연구 / 12권 / 2호 / 171 ~ 194페이지
    · 저자명 : 원혜영

    초록

    초기 열반경 텍스트가 역사적인 사실의 기술로 전개되었다는 종전의 견해에 동의하면서, 이들 텍스트에서는 선명한 사례로부터 일반적인 이론 이상을 추출할 수 있다는 면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붓다의 입멸을 주 내용으로 다룬 초기 열반경 텍스트의 마지막 부분은 권력의 이행 또는 재구성을 드라마틱하게 다루고 있다. 권력의 이행은 붓다 옆에서 오랫동안 시봉한 아난이 아니라, 가섭에 의해 행해졌다는 점에서 흥미롭지 않을 수 없다.
    가섭이 참석하지 못해서 붓다 유해에 불이 붙지 않았다가 가섭의 등장으로 다비의식을 수행할 수 있었다는 경전의 서술을 통해서, 가섭의 입지는 분명하게 드러났다. 필자의 견해에 의하면, 가섭이 지닌 위상은 아난이 여성에게 호의적이고 개방적인 입장을 고수하는 온건적 입장에 정면으로 승부하는 엄격성을 띠었다고 본다. 상가 공동체의 지위체계는 붓다의 다비의식을 무사하게 치를 수 있도록 진행한 가섭에 의해 주도되었다. 가섭은 공동체의 핵심 인물인 붓다의 장례에 깊이 관여하면서, 후대 제 1차 결집을 이끌었다. 가섭은 유행하는 비구와 정주하는 비구 사이에서 상가 공동체를 확대시키고 발전할 수 있게 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한 주요 인물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mains to be said about the Venerable Mahākassapa's relation to Ānanda is closely connected with his leading role in the Saṃgha after the Buddha's passing away. We shall see later, Mahākassapa referred to this very incident shortly after the Buddha's cremation when he spoke of the need to convene a council of elders to preserve the Dhamma and Vinaya for posterity.
    When Mahākassapa arrived, he walked around the pyre tree times, reverently, with clasped hands, and then with bowed head paid his homage at the feet of the Buddha. When his group of monks had done likewise, the pyre burst into flames by itself. With that suggestion, he turned the monks gathered at Rājagaha. The monk's community agreed, and their request Mahākassapa selected five hundred elders all but one of whom were arahants. The one exception was Ānanda, whose position was ambivalent.
    After the holding of the First Council, the high regard in which the Venerable Mahākassapa was held grew still greater, and he was seen as the de facto head of the Buddhist Saṃgha. Thus Mahākassapa, who had been generally recognized in the Order as the worthiest in succession.
    Taking about Mahākassapa as a cipher for larger trends, we find a tension between forest and settled monastic points of view. The contrast between these two different ways of viewing the relation of settled monastic and forest Buddhism evident in Mahākassapa's person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