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글로벌리즘과 남북공동체 형성을 위한 한인디아스포라 (Korean Diaspora for the Development of the South-North Korean Community in the Age of Globalism)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1.02
32P 미리보기
글로벌리즘과 남북공동체 형성을 위한 한인디아스포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재외한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재외한인연구 / 23호 / 45 ~ 76페이지
    · 저자명 : 정영순

    초록

    한반도는 탈민족이라는 새로운 세계적 조류에 휩싸이고 있고, 지금까지 재외 한인 디아스포라 역시 시대적, 지역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어 왔다. 일제시기를 통한 식민주의적 민족 이산(離散)으로 이해되는 한인 디아스포라를 시작으로 현재는 남한에서의 해외 이주, 북한의 탈북 이민자들을 포한한 다양한 현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민족의식이나 민족정체성도 상황이 바뀌고 있으며, 남북 분단으로 인해 같은 한민족이라 하더라도 북한과 남한의 민족 개념이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남북한, 해외 동포를 아우르는 민족 개념을 재정립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한인 디아스포라 연구는 매우 시급한 과제이다. 본고에서는 디아스포라의 다양한 현황을 파악하고, 글로벌리즘이 전개되는 현 상황에서 남북공동체 문제를 어떻게 접근하고 해결해야 하는 가에 대한 해답으로서 한인 디아스포라의 새로운 방향을 어떻게 모색해야 하는 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개인으로 자립하는 것과 민족적으로 사는 것이 모순되지 않음을 한인 디아스포라들이 잘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남북통합을 어떠한 형태로 이룰 것인가는 점진적인 통합 방안을 지향하면서 통일 로드맵을 만들어가야 하겠지만 민족 정체성은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구축해 나가는 것임을 재중 조선족, 재일 한인 등을 통해 확인하였다. 즉 정체성의 다수성과 유연성을 통일 과정에서도 새롭게 정립해야 하는 것이다. 언젠가 실현될 통일 후의 한반도는 글로벌 경제에 통합된 남한이 주도할 가능성이 농후하며 이럴 때 지금까지 살펴본 한인 디아스포라의 문제는 많은 시사점을 던져 준다. 통일 한국을 성취하는 과정에서 한인 디아스포라는 북한 동포를 어떻게 포용하여 함께 살아가야 할 한민족공동체 구성원으로 만드는 가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영어초록

    Before forming a genuine people's nati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in the turmoil of a new world trend of the so-called denation. Until now, Korean Diaspora in foreign residence outside the peninsula has developed in widely differing ways, depending on periodic and regional circumstances. Starting with Korean Diaspora, which is regarded as a colonial people's separation caused by the Japanese occupation, currently, the Diaspora has developed in varying forms, including overseas immigration from the south and North Korean defectors. National or national identity can change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Especially, even though South and North Koreans are all Korean, both have totally different national concepts. The north made a new Kim, Il Sung People’s concept, which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Korean people’s concept in South Korea. After the collapse of Eastern Europe, the origins of early socialism, North Korea adopted the nationalist concept to maintain the regime centering on Kim, Il Sung. It is a pressing matter for us to reestablish a national concept that encompasses both south and north, and that also includes Korean Diaspora, as we prepare for the peninsula’s eventual reunification. Korean Diaspora studies have the urgent task to achieve this. In this report, we reviewed the various statuses of Diaspora and considered how to seek a new direction for Korean Diaspora as an answer to how we might approach and resolve the problems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communities in the current situation, accompanied by an increasing pace of glob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외한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