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류세에서 지구공동체를 위한 지구법학 (Anthropocene and Earth Jurisprude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21.02
35P 미리보기
인류세에서 지구공동체를 위한 지구법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환경법과 정책 / 26권 / 1 ~ 35페이지
    · 저자명 : 박태현

    초록

    인류가 자신의 능력으로 지구적 차원의 지질학적 추동력이 되는 인류세 시대에 접어들었다. 인류가 지구의 지질학적 힘이 되면서 나머지 지구공동체 성원과 사이에 형성된 ‘운명공동체’의 지속 가능한 존립을 결정하는 종이 되었다. 인류는 자신과 지구공동체 다른 성원의 생존과 번영을 위하여 지구 시스템에 미치는 자신의 영향력을 적절한 수준과 방식으로 자기 통제해야 하는 책임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책임 이행의 맥락에서 법으로써 인간의 행동에 자연의 법(the law of Nature)에 부합하는 규율성을 부과하고자 하는 법철학으로서 ‘지구법학(Earth Jurisprudence)이 태동하였다.
    이러한 지구법학은 인간은 더 넓은 존재공동체, 곧 지구공동체의 한 부분이고, 지구공동체의 각 성원의 안녕은 전체로서 지구의 안녕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고에 바탕한 법과 거버넌스에 관한 철학으로 정의될 수 있다. 지구법학이 하나의 사상으로서 기존의 환경윤리와 차별성을 갖는 지점은 그것이 ‘지구공동체의 건강과 안녕’을 최고의 ‘공동선’으로 설정하고, 이의 성취를 위한 도구로써 우주의 기능방식을 규율하는 근본 법 내지 원칙(위대한 법)에 부합하는 ‘인간의 법’을 내세우고 있다는 데 있다.
    지구법학의 바탕 사상 내지 철학은 신학자이자 문화사학자인 토마스 베리의 사유체계로부터 기원한다. 베리는 인간을 더 큰 지구공동체의 한 부분으로 인정하며, 인간 중심의 법과 거버넌스 시스템에서 지구공동체 중심의 시스템으로의 전환, 곧 지구공동체와 모든 성원의 안녕을 상위의 공동선으로 상정하는 법과 거버넌스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지구공동체의 각 성원의 주체성을 인정하는 전제에서 기본적 권리로 ‘존재할 권리’와 ‘서식지에 대한 권리’ 그리고 ‘지구 공진화과정에서 자신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할 권리’가 있음을 주창하며 인간의 법에 이를 반영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지구법학의 이러한 강조와 제안은 인간 사회는 더 넓은 지구공동체의 일부로 자신을 규율하고, 우주의 작동 방법을 규율하는 근본 법 내지 원칙(위대한 법)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행동할 때만 생존 가능하고 또 번영할 수 있다는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Anthropocene era has entered. What is the responsibility of mankind, who emerged as a global geological force, to the Earth and to the rest of the Earth? Wha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world’s systems of law and governance to meet these challenges? Clearly, a “business-as-usual” approach will yield more of the same. A meaningful response to the ecological and social challenges of this era requires a shift of thinking at the jurisprudential level.
    This Article offers a vision and definition of jurisprudence—an “Earth Jurisprudence”--to guide the transformation of law and governance for the well-being of humanity and the Earth community. EarthJurisprudence is a developing field that rethinks law and governance from an Earth-centered perspective. Earth Jurisprudence is a philosophy of law and human governance based on the idea that humans are only one part of a wider community of beings and that the welfare of each member of that community is dependent on the welfare of the Earth as a whole. From this perspective, human societies will only be viable and flourish if they regulate themselves as part of this wider Earth community and do so in a way that is consistent with the fundamental laws or principles that govern how the Universe functions.
    We don't understand the rights of the Earth through our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we understand human rights through our understanding of the rights of the Earth. The time has come for us to change our perspective and think about the law. Earth law will serve as an excellent guide for tha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환경법과 정책”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