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행 향피리 종류에 따른 청과 지법의 관계 - 서울굿 중심으로 - (Types of Hyang - Piri and its traditional transposition technique - Focusing on Shaman music in Seoul -)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6.06
17P 미리보기
현행 향피리 종류에 따른 청과 지법의 관계 - 서울굿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59권 / 279 ~ 295페이지
    · 저자명 : 진윤경

    초록

    서울, 경기 지역의 굿에서 피리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무가를 반주하는 것이다. 그런데 무가의 음역은 사람마다 다르고, 장시간 연행되는 굿에서 무녀의 컨디션은 때때로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무가에서 조옮김이 발생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이때 관악기 연주자들은 무가의 음역이 바뀌더라도 지공의 위치로 본청의 변화를 파악하여 이조된 선율을 손쉽게 반주할 수 있는 기준으로 삼아 왔다. 현재까지 현장에서 존속하고 있는 향피리의 청의 명칭에는 7관청, 6관청, 5관청, 네가락 원청, 세가락 원청(굿거리청), 얼빗청, 빗청이 있다. 그러나 이것이 정확하게 무엇을 지칭하는 것인지 학술적으로 규명되어 있지 않고 연주자 사이에도 제대로 전승되고 있지 않다. 때문에 본고에서는 서울굿의 삼현육각 악사 허용업의 연주를 토대로 향피리의 청에 관해 음악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실음으로 변환하여 조옮김의 구체적 양상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서울굿에서는 향피리로 무가를 반주하고, 무무 및 거상악으로 관악영산회상의 삼현, 염불도드리, 취타 등의 음악과 민간대풍류인 반염불, 굿거리, 당악을 넘나들며 연주한다. 이때 Sol(노)-La-Do(나)-Re-Mi의 경토리 구조로 연행되는 서울굿 무가의 청은 최저음인 솔로 약속되어 있으며 정악용 대금과 향피리를 사용하여 현행 민속악계의 연주와는 음역이 달리 나타난다.




    먼저 서울굿에서 사용하는 향피리의 7관청이라는 것은 정악용 향피리의 전공 7개와 후공, 총 8개의 모든 지공을 막았을 때 나는 음인 A♭이 본청(Sol)이 되는 것을 뜻하며 D♭조 솔음계로 연행되는 무가를 반주할 수 있다. 향피리의 6관청은 정악대금의 6관과 동일하며 전공 6개를 막고 본청(B♭)으로 삼아 연주하는 것으로 E♭조 솔음계를 연주한다. 6관청으로 무가 외에 취타, 길군악(절화), 별곡타령(군악)을 연주한다. 5관청은 전공 5개를 막아 본청(C)으로 삼고 F조 솔음계를 연주할 수 있다. 네가락 원청은 후공과 전공 4개를 막은 상태를 본청(D♭)으로 삼아 G♭조 솔음계를, 세가락 원청은 후공과 전공 3개를 막은 상태를 본청(E♭)으로 삼아 A♭조 솔음계를 연주할 수 있으며 이것으로 연주되는 기악곡은로는 긴염불, 반염불, 굿거리, 자진굿거리가 있다. 얼빗청은 후공과 전공 2개를 막아 본청(F)으로 삼고 B♭조 솔음계를 빗청은 후공과 전공 한 개를 막아 본청으로 삼고(G♭) C♭조 솔음계를 연주할 수 있다. 후공만 막고 전공을 모두 개방한 상태는 7관청과 옥타브 관계가 형성됨으로 더 이상 이조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실음은 산조대금과 민속악용 향피리로 연주할 경우 전체적으로 장 2도가 높다. 따라서 정악용 악기만 사용했던 시기와는 달리 현재 연주되는 취타계풍류와 대풍류는 사용되는 악기의 종류에 따라 음역이 두 가지로 연주될 수 있으며 이는 현대에 일어난 변화라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raditionally one of the most important roles of Piri was to accompany vocal music in shaman rituals. Different shamans have different pitches, and even for an individual shaman her pitch would change during the many-hour rituals as her vocal condition changes. In this case, the melody shifts and an entire musical piece changes to another key while maintaining the same tone structure. Therefore, there was a need for frequent transpositions.
    Even without the key change standard that we use today, traditionally Piri players performed transposition using the standard called Cheong, which is named after Hyang-Piri’s finger holes. There are seven finger holes name-Chilgaun-cheong(8th hole), Ukguan-cheong (7th hole), Oguan-cheong(6th hole), Negarak-woncheong(5th hole), Segarak-woncheong(4th hole), Eolbi-cheong(3th hole), Bi-cheong(2th hole). Chilgaun-cheong means every hole of Hyang-Piri is closed(8th). This makes A♭ sound and is regarded as Sol. This can accompany vocal music played in Sol mode in D♭. If the position of sol change, entire musical piece change to another key. For example, in Ukguan-cheong(7th hole, B♭) Piri player plays Sol mode in E♭.
    However, today, the finger hole system as standard of transposition is rarely used. Since the 20th century, Hyang-Piri has been divided into Jeongak-guan and Minsokak-guan, following the division that pre-occurred for Daekeum. There are now two key standards, one for each type of Hyang-Piri, but the traditional transposition technique described in this paper is now only used for rituals performed by old Piri players. This technique is not taught in the current school systems and is in danger of lo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