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년지도자의 경험과 요구되는 역량 (Youth Workers’ Experiences and Required Competencies under COVID-19)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21.03
27P 미리보기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년지도자의 경험과 요구되는 역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청소년활동연구 / 7권 / 1호 / 1 ~ 27페이지
    · 저자명 : 전영욱, 손규태, 이미나, 이지은, 정은정, 조유담, 최선미

    초록

    배경: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년 기관과 시설은 청소년의 감염 예방과 선제적 대응을 요구받았다. 청소년지도자 사이에서는 기존의 대면 중심의 활동과 참여가 제한됨에 따라 청소년 활동방식이 변화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었으며, 청소년 기관의 여건에 따라 다양한 대응방안이 모색되었다. 환경변화로 인한 조직의 변화는 조직구성원의 생각과 행동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적응하고 도전과제를 대응하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의 경험뿐만 아니라 요구되는 역량을 규명하고 개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목적: 이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년지도자들의 경험과 요구되는 역량을 탐구하고자 한다.
    방법론/접근: 코로나19 상황을 경험한 8명의 청소년지도자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20년 11월 26일부터 12월 11일까지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결과/결론: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은 청소년지도자들이 익숙하지 않은 비대면 활동을 개발하고 운영해야 하는 요구에서부터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활동이 비대면으로 전환됨에 따라 프로그램 접근성이 높아지고, 프로그램에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환경에서 청소년 활동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청소년지도자들은 비대면 청소년 활동 컨텐츠를 개발하는 역량을 함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코로나19 이후 새롭게 요구되는 청소년 활동을 실행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지침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청소년지도자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을 위한 이수 교과목에 비대면 활동 영역 추가, 청소년 기관의 변화 관리 및 청소년 현장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연구 수행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청소년지도자의 디지털 역량에 관한 연구, 비대면 환경에서 청소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였다.

    영어초록

    Background: Under COVID-19, youth institutions and facilities were required to prevent infections and preemptive responses to youth. Among youth workers, the perception that youth activities should be changed as existing face-to-face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s limited, and various countermeasures have been sought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youth institutions. Organizational changes caused by environmental changes affect the thinking and behavior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o effectively adapt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respond to challenges, efforts to identify and develop not only the experience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but also their competencies are require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required competencies of youth workers under COVID-19.
    Methodology/Approach: Eight youth workers who experienced the COVID-19 situatio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from November 26 to December 11, 2020.
    Findings/Conclusion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stem from the demand for youth workers to develop and operate unfamiliar non-face-to-face activities. Second, it was found that as youth activities proceeded non-face-to-face, access to programs could increase and an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can concentrate on programs could be created. Third, to effectively deliver youth activity programs in an online environment, youth workers need to cultivate the ability to develop non-face-to-face youth instructional content. Fourth, it was found that effective guidelines and policy support to implement youth activities newly required after COVID-19 are needed.
    Implications: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a re-education program for youth workers, add a non-face-to-face activity area to the subject for youth instructor qualification examination, manage changes in youth institutions, and conduct research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youth field. Also, a study on the digital competencies of youth leaders and a metho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youth programs in non-face-to-face environments were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청소년활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