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휴대전화 중독 청소년들의 특성 및 중독과정 촉진요인 (Characteristics of Youths Addicted to Mobile Phone and Facilitating Factors for Addiction Proces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1.04
22P 미리보기
휴대전화 중독 청소년들의 특성 및 중독과정 촉진요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담학회
    · 수록지 정보 : 상담학연구 / 12권 / 2호 / 577 ~ 598페이지
    · 저자명 : 윤혜정, 권경인

    초록

    본 연구는 휴대전화 중독 청소년들의 특성, 휴대전화 중독과정 및 촉진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중학교 1∼3학년 학생 14명(남 6명, 여 8명)이였으며, 2009년 9월에서 11월에 3차에 걸친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자료를 근거이론 접근방법(Strauss & Corbin, 1990)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54개의 개념 24개의 하의범주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로 휴대전화 중독 청소년들의 중요한 특성을 관계적, 정서적, 지각 영역에서 특성 및 부작용 등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첫째, 관계적 특성은 ① 혼자일 때가 많음, ② 높은 관계욕구를 피상적 방식으로 채우기 ③ 가족관계에서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의 어려움, ④ 또래에 대한 의존이 심함, ⑤ 실제적 대인관계의 어려움, ⑥ 문자가 친구관계를 유지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보편화 되어있음. ⑦ 또래관계와 이성관계가 중요해지는 시기 등이다. 둘째, 정서적인 특성은 ① 외로움, ② 심심하고 지루한 기분을 견디기 힘듦, ③ 부정적인 감정이나 갈등상황을 처리하지 못함, ④ 거절에 대한 불편감과 소외감 등이다. 셋째, 지각 특성은 ① 중독의 정도가 심할수록 휴대전화 관련 문제에 대한 지각능력이 떨어짐, ② 자기(self)에 대한 자각능력이 낮음 등이다. 휴대전화 사용의 부작용으로는 금단증상, 주변과 갈등, 요금 및 교체 문제 등이 포함 되었다. 휴대전화에 중독 과정은 휴대전화 몰두단계, 휴대전화 잠재적 중독단계, 휴대전화 고위험 중독단계로 정리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휴대전화 중독 청소년들의 경험을 통해 세부적 특성을 탐색했다는 점과 인터넷 게임중독과 휴대전화 중독의 차이점을 밝혀냄으로써 휴대전화 중독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youths who are addicted to mobile phone, types of immersion in mobile phone, and factors facilitating immersion.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4 students(male 6, female 8) who are in their 1st, 2nd, and 3rd year of junior high school.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3 different occasions, and an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was made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Strauss & Corbin, 1990).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54 concepts, 24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have eventually been specified. The results of study have been provided by dividing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youths addicted to mobile phone into relational, emotional, and perceptional sphere, side effects, etc. First,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entail ① Frequently being alone, ② Much desire for relationship, ③ Difficulty with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in the family, ④ Too much reliance on friends, ⑤ Difficulty with actu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⑥ Text message has become a popular means of maintaining friendship, and ⑦ It is a stage where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relationship with the opposite gender are becoming important. Second,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entail ① Loneliness, ② Difficulty dealing with boredom, and monotony, ③ Inability to deal with negative emotion or conflict situation, and ④ Sense of inconvenience and alienation toward rejection. Third, the perceptional characteristics entail ① Perceptional ability regarding problems related to mobile phone decreases as the level of addiction increases, ② Low ability for self perception, and so on. The side effects of mobile phone use include withdrawal symptoms, conflict with others, problems with bill and replacement, etc. Also, this study has looked at the process of mobile phone addiction by examining the stage of immersion in mobile phone, stage of potential addiction to mobile phone, and stage of high risk addiction to mobile phone. Such a results of study have meaning in that they explore detaile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experience of youths addicted to mobile phone and that they provide an in depth discussion of mobile phone addiction by discovering a key difference between internet game addiction and mobile phone addi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담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