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후기청소년(19-24세)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개발 방안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 : 후기청소년들 및 전문가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Developing Media Literacy Competencies for Late Adolescents :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Adolescents and Expert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24.06
36P 미리보기
후기청소년(19-24세)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개발 방안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 : 후기청소년들 및 전문가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8권 / 3호 / 198 ~ 233페이지
    · 저자명 : 강진숙, 김경은, 권오현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후기청소년들의 미디어 활동 경험을 분석하여 후기청소년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론적 논의로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과 구성요소, 후기청소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및 정책적 쟁점을 다루었다. 연구 방법은 스트라우스와 코빈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해 미디어 활동 경험이 있는 후기청소년들과 미디어 교육 및 정책 전문가 인터뷰 자료를 수집해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후기청소년들은 진로 탐색 및 취업 준비를 위해 대학교 안팎에서 다양한 미디어 활동을 하고 있었고,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및 기술, 산업, 정책 등 개인적, 사회적 요인으로 인해 여러 한계를 경험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후기청소년들은 능동적, 주체적인 태도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강화하고 사회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참여하고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또한 후기청소년들과 전문가들은 후기청소년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개발 방안으로서 미디어 교육과 정책 관련 법 제정, 통합된 조직 구성 및 조직의 역할 강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제도적 개선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택코딩에서는 핵심 범주로 후기청소년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개발을 위한 실천 방안을 설정했고, 후기청소년들의 미디어 활동을 이론화하였다. 연구 의의는 후기청소년 대상 미디어 교육 및 정책의 의의 및 한계점을 살펴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후기청소년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개발 방안을 제시함에 있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 engagement experiences of late adolescents and explore strategies to enhance their media literacy skills. The research delves into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media literacy, examines relevant educational and policy considerations, and employs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method. Participants include late adolescents with media experience, as well as media education and policy experts. Data collection involves interviews, followed by open, axial, and selective coding analyses.
    The findings reveal several key insights. Through open coding analysis, 95 conceptual items are identified, leading to the derivation of 27 subcategories and 11 categories. Axial coding highlights the interconnectedness of these categories, culminating in a paradigm model outlining the media engagement process of late adolescents. Despite their transition to adulthood, late adolescents engage in media activities for personal growth and career preparation, encountering challenges such as limited media literacy skills, technological constraints, and societal factor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late adolescents adopt proactive measures to enhance their media literacy and advocate for policy changes. Recommendations from both late adolescents and experts include the enactment of media education laws,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organizations, and improvements in institutional media literacy education. Selective coding identifies action plans for developing media literacy skills as a core focus, thus underlining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In summary,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media literacy capabilities among late adolescents and proposes concrete measures to achieve this goal. These measures encompass legislative reforms, organizational initiatives, and educational enhancements aimed at fostering a more media-literate society.
    Organizations focusing on media education and policy for post-adolescents are currently running projects with overlapping content and limited budgets, hampering their ability to offer diverse programs to the majority. Therefore, to enact legislation on media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n integrated implementation system at the government level and proactively pass special laws such as the ‘Digital and AI Literacy Special Act (tentative name)’ to address social issu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examining the importance and constraints of media education and policies for late adolescents and proposing measures to enhance their media literacy capabilities.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study's characterization of the media engagement process of late-adolescents and the identification of detailed media literacy needs based on empirical data from post-adolescents and experts. Additionally, the study analyzes the limitations of current media education and policies for post-adolescents and explores avenues to boost their media literacy capabilities.
    Given that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and late-stage adolescents in urban areas, there is a call for an expanded approach through follow-up studies, encompassing various late-adolescent demographics such as employed individuals, military personnel, reclusive youth, or regional late-adolescent group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