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의 淸 琺瑯瓷器 유입경로와 수용태도 연구 (A Study on the Course of the Inflow and the Receptive Attitude of the Falangcai Porcelain in Joseon Dynast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9.02
26P 미리보기
朝鮮의 淸 琺瑯瓷器 유입경로와 수용태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37권 / 115 ~ 140페이지
    · 저자명 : 김은경

    초록

    18세기 중반 이후 법랑자기 제작 기술이 민간으로 확산되면서 상품용 법랑자기의 제작이 이루어졌고, 이는 청의 법랑자기가 세계 도자기 시장의 주류로 성장하는 중요 한 요인이었다. 즉, 조선에 유입된 대다수의 법랑자기가 분채라는 사실은 청의 법랑자 기 생산 환경 변화에 따른 결과이다. 19세기에 이르면 청 도자기가 기존 유럽 시장에서 의 경쟁력을 잃어가면서 아시아 시장이 부각되었다. 아시아 시장이 중요한 또 다른 이 유는 각 나라별로 문화적 차이와 풍습으로 인하여 각기 다른 형태의 수용태도를 보여 준다는 점이다. 이에 법랑자기의 유입 정황이 뚜렷한 琉球와 일본, 그리고 태국, 말레 이반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태국과 말레이반도에서는 상류층 문화로서 그들의 문화적, 민족적 정체성을 표현하 는 하나의 수단이었다면, 조선과 일본은 자국의 도자문화와는 별개로 지배층의 권위를 부각시키기 위한 의도로 청대의 법랑자기를 수용하였다. 아울러 19세기의 법랑자기는 청 내부적으로 품질이 쇠퇴하고 유럽 자기에 밀려 고전을 면치 못했지만, 조선이나 일 본, 그리고 태국, 말레이반도에서는 여전히 상류층 혹은 부유층을 중심으로 소비되었 고 높은 사회적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이는 19세기 말엽까지도 조선왕실이 법랑자기를 구득한 배경이기도 하다. 조선 왕실은 18-19세기 동안 법랑자기를 포함한 청 자기의 사회적 위상을 높게 인식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왕실은 대한제국 시기까지 왕실에서 치러지는 진연에 양채자기의 사용을 고수하였다. 조선은 청과의 오랜 교섭 과정 중 청 황제 혹은 사행을 통해 법랑자기가 본래 청궁에서 소용되던 어용 기물임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을 것이다. 이는 20세기 초 대한제국 시기까지 조선이 법랑자기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이미지로 보인다. 조선 왕실은 18세기 말기부터 이어진 청 문물에 대한 호의, 더 나아가 성리학적 질서를 유지 발전시키는 주체로서의 자부심으로 청 법랑자기를 사용함으로서 이를 드러내고자 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영어초록

    After the mid-eighteenth century, as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Falangcai porcelain spread to the folk kilns, the production of Falangcai as a typical commodity became mainstream practice. This was an important factor that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Falangcai porcelain as one of the prevailing products on the global porcelain market.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the Falangcai porcelains imported to Joseon consisted of Fencai porcelains was a result of changes in the production environment of Qing Falangcai. By the nineteenth century, the Asian market was at the forefront while in the existing European market, the Qing Falangcai lost its competitiveness. Another reason why the Asian market is important is because of the distinct cultures and customs of each Asian country and how these manifest in the different approaches to accepting Qing culture. Therefore, this thesis mainly examined the regions of the Ryukyu Islands, Japan, Thailand, and the Malay Peninsula where the inflow of Falangcai porcelain was more distinctive. As for Thailand and the Malay Peninsula, the use of Qing Falangcai was a means of expressing their cultural and ethnic identities as an upper-class culture. This is in contrast to Joseon and Japan where the acceptance of Qing Falangcai was done independently of their ceramic culture with the intention of highlighting the authority of the ruling class. In addition, by the nineteenth century, the quality of Falangcai porcelain within the Qing dynasty experienced decline and was ultimately overshadowed by European examples. However, Falangcai continued to be associated with the notion of high society in the regions of Joseon, Japan, Thailand and the Malay Peninsula where Falangcai was still being consumed by mostly the upper class or wealthy. This also explains why the Joseon royal family continued to purchase Falangcai porcelain even to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During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the Joseon royal family seemed to attach high social status to all Qing porcelain including Falangcai. The Joseon dynasty adhered to the use of Yangcai porcelain in royal banquets until the era of the Korean Empire. During the long negotiation process with the Qing Dynasty, Joseon would have been aware of the fact that Falangcai porcelain was originally used as imperial articles inside the Qing’s imperial palace. This seems to be the image of Falangcai that the Joseon dynasty possessed until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t is believed that the royal family of the Joseon dynasty attempted to reveal their favorable feelings toward the cultural products of the Qing dynasty, which had continued since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This was done by using the Qing Falangcai as an expression of Joseon’s approval of Qing culture as well as the pride cherished in committing to maintaining and developing ethological or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