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하철 공간의 여성 경험, 근대화에 던지는 하나의 의심 (Women’s Experiences in the Seoul Subway Raising Doubts about Modernizatio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7.06
33P 미리보기
지하철 공간의 여성 경험, 근대화에 던지는 하나의 의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정보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정보학보 / 83권 / 3호 / 39 ~ 71페이지
    · 저자명 : 방희경, 류지현

    초록

    본 연구는 서울 지하철 공간을 경험해 온 한국 국적, 2∼40대, 서울 거주 여성의 자기기술지(autoethnography) 를 통해 해당 공간이 여성에게 어떠한 ‘장소(place)’로 인식되는가를 밝힌다. 지하철 공간은 산업화·도시화·근대화 과정에서 국가 기획에 의해 탄생하여, 노동력을 수송하고 소비의 욕망을 자극하는 체제 기능적인 공간이다. 연구자들의 경험은 해당 공간이 안전과 효율성이라는 근대화의 논리를 확대하기 위해 ‘특성 없는 인간’ 주체를 요구하고 생산하는 ‘특성 없는 공간’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동시에 지하철 공간은 ‘가부장제’라는 전근대적 사회 질서와 연동하면서 공간 논리를 구축하고 있었다. 지하철 공간은 안전과 효율성이 달성될 수 있도록 우리의 신체를 규율화하는 수많은 규칙과 규율들을 제시하면서도, 젠더 평등 원리를 강조하는 교육에도 관심을 두지 않았고, 성범죄 예방 캠페인이나 처벌 문제에도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았다. 지하철 공간에서 여성은 남성중심질서와 맥을 같이 하는 성추행, 남성적 응시(gaze)의 대상화 등 억압을 일상적으로 경험하면서도, ‘정숙(貞淑)’과 ‘바른 행실’ 등과같은 전통적인 관습이 신체에 내재되어 있는 탓에 자신의 주체성을 확장하는 데에 어려움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하철 공간이 여성의 신체를 확장하기보다는 압축하고 축소시키는 ‘여성 억압적 장소’라고 해석하였고, 이를 통해 한국 사회의 근대화 원리에 의심을 던지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women experience the space of the subway, the most representative transportation system in Seoul, to discover what meanings they attach to the space. The meanings formulate the space into a certain ‘place.’ This study uses auto-ethnography (suitable for disclosing women’s experiences) written by the two researchers-South Korean women in their 40s and 20s, who reside in Seoul. The researchers’ experiences reveal that the subway space demands and produces ‘men without quality’ by emphasizing safety and efficiency, the virtues of modernization. At the same time, it has constructed women oppressive space logics by not recognizing patriarchism and male-centrism, the premodern social norms, as problematic, and neglects to suggest issues like sexual assault and male gaze. Ironically, however, women in the subway space, constantly drawing from internalized patriarchal orders and traditional gender roles, tend to react in passive ways. Taking these rules and norms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understands the subway space, the function-oriented ‘non-place,’ as a women oppressive place, which raises doubts about modern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정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