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의 철 생산체제 (The production system of Iron in Joseon Dynas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1.06
40P 미리보기
조선시대의 철 생산체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세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중세고고학 / 9호 / 33 ~ 72페이지
    · 저자명 : 서성호

    초록

    고려말 산철지에 철장을 두면서 추진된 철장제는 조선 태종 대에 양계 지역을 포함한 전국 범위에서 확립되었다. 철장에서의 제철 노동은 산철지의 일반 군현민 중에서 일부로 이루어진 취련군이 담당하였다. 그런데 공철은 산철지에만 부과된 것이 아니어서, 철장이 없던 군현의 백성들은 철을 사서 납부하거나, 가재도구, 또는 농기구까지 바쳐야 했다. 세종 대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철장도회제가 실시되었다. 철장도회에서는 철장 소재지의 주민에 더하여 인근 비산철지 주민들까지 제철노동에 참여한 것이 달랐다. 비산철지 주민들에게 철장도회제는 식량을 휴대한 채 원거리를 왕래해야 하고, 자주 농사철과 겹치는 등 또 다른 민폐의 원인이 되었다. 마침 세조 대에 간경도감 설치를 계기로 공물대납이 허용되면서 철 역시 대납이 성행함에 따라 철장도회제는 중단되었다. 공물대납의 폐해가 극심해지자, 새로 즉위한 예종은 초강경한 대납 처벌 방침을 선언하는 등 사태가 일변하였으나, 곧이어 경과 조치가 내려지면서 엄벌 분위기는 약화하였다. 성종 초년에 부활한 철장도회제 하에서 철장도회에 어렵사리 왕래 부역하던 농민들까지 방납[대납]의 피해를 입자, 성종 대 후반에는 철장도회제 자체를 아예 폐지하자는 관료들의 주장이 잦았다. 이 과정에서 잡역 면제론과 같은 비교적 현실성 있는 대안은 말할 것도 없고, 대납의 현실을 어느 정도 인정한 듯한 各自採鐵론이나 各自備納론조차 성종에 의해 기각되고, 일방적으로 철장도회제 유지로 결론이 내려졌다. 16세기에도 철장도회제가 명맥을 이어나갔음은 충주 지역 사례에서 확인된다. 그러나 활발한 철 유통과 공철 대납, 정부 수요 철물의 시장 구입 추세 속에서 왕래 부역에 의존한 철장도회제는 오래 지속되기 어려웠다. 여기에다 임진왜란이라는 외부의 충격은 철장도회제를 근본적으로 뒤흔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수군이나 죄인의 노동을 이용한 제철도 이루어졌다. 다만 이것들은 각기 군인의 군역 수행, 죄인에 대한 노동刑 집행의 일환이어서 군현민들이 생계활동과 잡역의 한편에서 부역을 감수해야 했던 철장도회제와는 경우가 다른 것이었다. 조선시대 민간제철의 실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려우나, 다양한 용도와 규모로 행해진 철 유통의 바탕에는 민간제철이 있었다. 특히 공철의 대납이 정책에 따른 일시적 굴곡 속에서도 성행하고, 이를 주도하는 철 상인들의 활동 속에서 국가의 대량 철 수요까지 시장에서의 구입을 통해 충족될 정도로 민간제철의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민간의 철 생산은 철장 소재지에 거주하며 대대로 제철에 종사해 온 사람들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자신의 고을이 더 이상 공철을 부담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도 생계를 위한 제철은 그 지역에서 그대로 이어갔을 것이다. 또 국가가 산철지로 파악하지 않았던 곳에서도 생계 활동의 일환으로 이뤄지는 소규모의 민간제철이 일부 존재했을 것이다. 임진왜란은 무엇보다 부역제에 의존하는 철장도회제를 결정적으로 흔들어 놓았다. 전쟁을 겪으면서 주민 호구 파악이 실제와 괴리가 커지면서 왕실과 관련한 역사조차 역 징발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 이러한 가운데, 지방 차원에서 민을 파악, 차출해야 하는 철장도회제는 그 현실적인 난관이 매우 컸으리라 짐작된다. 실제로 경상도 산음이나 충청도 서산, 태안 등지의 사례는 임진왜란 이후 무너진 철장도회제의 현주소를 엿보게 한다. 중앙 각 기관 수요의 철물도 이제 해당 기관이 그때그때 알아서 산철지에 관원을 직접 보내어 제련을 독려해야 했다. 부역에 의존한 철장제나 철장도회제 모두 임진왜란으로 무너진 생산력을 예전의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하는 가운데, 일부 제철장들을 宮家에서 점유하는 일이 많아졌고, 다른 한편에서는 신설된 군영들의 제철장 설치·운영이 임진왜란 이후 가장 큰 변화로 대두하였다. 군영 소속 제철장은 石鐵 운반용 선박을 자체 보유하는 등 일반 군현의 제철장보다 우월한 물력 내지 조직력을 지녔다. 이들 제철장은 匠人이나 일반 인부들의 농지에 대해 면세 혜택을 준다든가, 제련 인부로부터 身鐵을 거두는 대신 잡역을 면제해 주기도 했는데, 기존 철장도회제에서는 볼 수 없는 일이었다. 군영 소속 제철장 중에서도 훈련도감과 울산 철광 이의립의 관계는 군영 소속 제철장 운영의 한 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 준다. 군영의 관할 하에 있으면서도 민간의 실질 책임 하에 제철 전반을 운영하고 생산물의 일부를 국가에 稅로 납부하는, 일종의 반관반민적 형태의 제철이라 할 만했다.

    영어초록

    In the Joseon Dynasty, both the Cheoljang System and Cheoljangdohoe System were systems in which the people's labor was mobilized free of charge to produce iron. The Cheoljangdohoe System was repeatedly enforced and abolished, and on the other hand, the payment of iron as rice was also legally or illegally carried out in the active circulation of iron based on private iron making. Although the Cheoljangdohoe System continued until the 16th century, there were frequent claims to abolish it at the end of the 15th century due to institutional limitations that depended on free labor. It seems that the Cheoljangdohoe System was hit by a decisive blow as the free labor requisition system collapsed due to the Imjin W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several government-run ironworks were occupied by royal family, and the ironworks by newly established military garrisons emerged as a new phenomenon. In the ironworks affiliated with the military garrisons, certain counter benefits were given to the labor force. In some cases, a semi-governmental ironmaking industry has emerged, in which the private-initiated ironmaking is carried out and a certain amount of tax is paid, as in the case of Ulsan's Yi Euir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