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실천공동체의 공동체학습의 경험과 공동체역량의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 부산 대천천네트워크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munity Learning Experience and Community Competency Development Process of a Community of Practice(CoP) through the Case of Busan ‘Daecheoncheon Network’)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3.03
31P 미리보기
실천공동체의 공동체학습의 경험과 공동체역량의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 부산 대천천네트워크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성인계속교육연구 / 14권 / 1호 / 131 ~ 161페이지
    · 저자명 : 이정민, 이병준

    초록

    본 연구는 실천공동체(CoP) 관점에서 공동체 구성원들의 학습경험을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공동체 역량이 어떻게 발달되어 가는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부산 의 마을공동체 ‘대천천네트워크’ 를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실천공동체 관 점에서 나타난 학습경험은 ‘활동과정에서의 밀도있는 관계맺기’와‘ 실천과정을 통해 공유된 차별화 된 자산’, 그리고 ‘공동체의 기록과 공유’ 세 가지로 나타났다. 좀 더 세부적으로는 공통의 관심사와 자발적 참여, 일상의 공간에서 나누는 정서적 유대감, 남다른 관계 의 형성, 장기적인 학습지원체계 , 합의에 기반한 의사결정 문화, 마을 활동의 미니멀리즘, 주민연대와 네트워킹의 공간, 마을축제로 응집하며 결속함, 마을 전체가 함께 그리는 교육, 마을 기억의 공유 등의 경험들이 생성되었다. 공동체역량의 발달과정과 관련해서는 크게 다섯 과정의 발달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감성적 소통’에는 배려와 공감 , 수평적 소통 , ‘위기 대응력의 강화’에는 관계성의 혼란, 갈등의 최소화 ,인정과 이해 , ‘사회적 자본의 구축 ’ 에는 헌신적 협력과 화합, 신뢰감을 통한 공동체의 지속가능성 추구, ‘공동 자치력의 형성’에는 개인 책임감에서 마을 리더십으로의 전환, 주민자치력의 생성, 마지막 범주로는 ‘성찰성’이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ing experiences of community members from the perspective of a Community of Practice (CoP) and to identify how community capacity develops in the process. To this end, we conducted a case study of Busan’s village community “Daecheoncheon Network” through narrative interviews. Learning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a Community of Practice revealed that “dense relationships are formed in the process of becoming an activist,” with common interests and voluntary participation, emotional bonds shared in everyday spaces, and formation of unique relationships. In “differentiated assets shared through practical processes,” long-term learning support systems, decision-making cultures based on consensus, and minimalism in village activities were revealed. In “recording and sharing of Daecheon Village Community,” it was shown that residents come together through solidarity and networking spaces, cohesion through village festivals, education where the entire village draws together, and sharing of village memories. Community capacity development through this was categorized into five categories: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consideration and empathy, horizontal communication; “strengthening crisis response capabilities” with confusion in relationships, minimizing conflicts,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building social capital” with dedicated cooperation and harmony, pursuit of community sustainability through trust; “formation of joint autonomy” with transition from individual responsibility to village leadership, creation of resident autonomy; and finally “reflectivity.”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we expect to provide basic data and case study models on community capacity development that are being highlighted in practical fields such as village creation, village education communities, and learning cities, thereby present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mmunity directionality and op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