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천대퇴동맥 스텐트 골절 발생의 위험요인 및 임상적 연구: Prote′ge′GPS 스텐트 (Risk Factors and Clinical Evaluation of Superficial Femoral Artery Stent Fracture: Prote′ge′GPS Stent)

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0.12
6P 미리보기
천대퇴동맥 스텐트 골절 발생의 위험요인 및 임상적 연구: Prote′ge′GPS 스텐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영상의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영상의학회지 / 63권 / 6호 / 513 ~ 518페이지
    · 저자명 : 이다운, 김재규, 정혜두, 허태욱, 임남열, 오현준, 장남규, 최수진나

    초록

    목적: 천대퇴동맥 스텐트(Prote′ge′GPS) 골절의 발생빈도를 평가하고, 스텐트 골절과 원인 인자 및 임상 양상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천대퇴동맥에 발생한 동맥경화성 폐쇄 또는 협착을 Prote′ge′GPS 스텐트 삽입으로 치료하였던 환자 38명 중 스텐트 모양의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17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남자 15명, 여자 2명, 평균연령 72.8세). 총 17개의 천대퇴동맥에 43개의 스텐트가 삽입되었고, 병변의 평균 길이는 약 26.4 cm (15-50 cm) 이었다. 시술에 사용되었던 혈관 조영기기를 이용하여 전후, 측면 단순 영상을 획득 후 골절을 평가하였으며, 동시에 색 도플러 초음파, 카테터혈관조영술 또는 CT혈관조영술을 이용하여 스텐트 내부 혈류를 평가하였다. 스텐트의 길이, 위치 및 수 등에 따른 골절 발생률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골절과 개통률의 차이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 스텐트의 골절은 43개의 스텐트 중 14개(30.2%)에서 발생하였다. 10개의 스텐트(71.4%)가 천대퇴동맥의 상부 1/3, 4개의 스텐트(28.6%)가 하부 1/3에서 골절이 발생하였다. 단일 strut 골절이 10예(71.4%), 2개 이상의 strut 골절이 4예(28.6%) 있었다. 병변 및 삽입된 스텐트의 길이가 길수록 스텐트 골절의 발생빈도가 높았다(각각 p=0.021, 0.012). 관절과 가까이 스텐트가 삽입될수록 골절 발생빈도가 높았으며 오금동맥까지 연장하여 스텐트가 삽입될수록 하부 1/3에 골절이 잘 발생하였다(hip joint; p=0.01, knee joint: 0.029, insertion in popliteal a.: 0.015). 스텐트 개수와 골절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으며(p=0.126), 골절 여부에 따른 혈관 개통률은 의의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44).
    결론: 천대퇴동맥에 삽입했던 Prote′ge′GPS 스텐트는 추적기간에 비교적 많은 골절이 발생하였고, 병변과 스텐트의 길이 및 관절과의 거리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골절 여부와 개통률 사이에 의미 있는 관계는 없었다.

    영어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occurrence of superficial femoral artery stent fractures, the risk factors of stent fract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ractures and clinical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Of the 38 patients who underwent treatment with Prote′ge′GPS stenting due to arterial occlusions on the superficial femoral artery, 17 also underwent a clinical analysis. Forty-three stents were inserted in the 17 superficial femoral arteries, ranging between 15 and 50 cm in length, with a mean treated length of 26.4 cm (15-50 cm). A fracture was evaluated by taking a PA and lateral simple radiography, as well as a follow-up evaluation accompanied with a CT angiography, DSA, and a color Doppler sonography. The examination involved the assessment of the difference between bone fractures due to length, placement, and frequency.
    Results: Fractures occurred in 13 of 43 stents (30.2%). A total of 10 (71.4%) occurred in the upper third, compared to 4 (28.6%) in the lower third of the superficial femoral artery. In addition, 10 stents (71.4%) had a single strut fracture, whereas 4 (28.6%) had multiple strut fractures. A stent fracture occurred more frequently when the stents and lesions were longer (p=0.021, 0.012) and the stents were inserted near the join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tent numbers and the fractures (p=0.126). When the stents were inserted along the popliteal artery, a stent fracture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lower third of the artery. The stent fractures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patency rate of the stented artery (p=0.44)Conclusion: Prote′ge′GPS stents in the superficial femoral artery revealed a considerable number of fractures and the fracture frequency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length of stents and lesions. The closer stent insertion was to the joints, the more frequently fractures occurred. There were no evident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sence of stent fractures and the patency of the stented arte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영상의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