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眞殿 및 御眞奉安處 운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Places Enshrined King's portrait in 19th century of Joseon Dynast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1.10
26P 미리보기
19세기 眞殿 및 御眞奉安處 운영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26호 / 162 ~ 187페이지
    · 저자명 : 김지영

    초록

    조선후기에는 선왕의 초상화를 봉안하고 제향을 올리는 진전과 초상화를 봉안하는 봉안각이 운영되었다. 숙종대에서 정조대를 거치면서 진전[서울의 궁궐 안 선원전과 도성 안의 영희전]은 종묘에 버금가는 왕실 조상의 기념장소로 자리잡았다. 강화도와 사친의 사당에도 봉안각을 만들어 장소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19세기에 들어와서도 이러한 진전 정책의 기조는 기본적으로 유지되었다. 純祖代 정조가 공들여 키워왔던 화성에 華寧殿을 지어 강화부의 長寧殿에 짝하는 외방 진전으로 성립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진전정책의 새로운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순조의 생모의 사당인 景祐宮이 어진 봉안의 새로운 장소가 된 것도 英祖代 毓祥宮과 正祖代 景慕宮에 봉안각을 마련했던 전례를 따른 것이었다. 그러나 眞殿의 室數가 종묘와 같이 되어 국가의 공식 제사가 늘어나는 것을 염려하였던 영조의 염려는 현실화 되어 璿源殿과 永禧殿의 室數는 계속 늘어나기만 했다. 19세기 중반 이후 先代에 대한 엄격한 평가가 수반되지 않은 채 선대 영정을 眞殿에 봉안하면서 眞殿이 가지는 위상은 이전에 비해 오히려 약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동시에 철종의 영정이 공식 진전에서 배제되는 과정은 왕실 승계와 기념에서 혈통이라는 사적원리가 중시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황제국 선포 이후 高宗이 선대 국왕들을 皇帝로 추숭하는 작업과 함께 태조의 어진을 선원전에도 봉안함으로써 原廟로서 기능하고 있었던 궁궐 내 진전인 璿源殿에 永禧殿과 같은 위상을 부여하려 했다. 그러나 도성 안에서 백성들의 기념 장소로도 기능했던 영희전과 달리 선원전은 왕실의 기념 전각일 뿐이었다. 기울어가는 國運을 되돌릴 수 없는 상황에서 궁궐 안의 그 眞殿은 제대로 기능할 수 없었다. 1907년 궁궐 밖 모든 진전이 철폐됨으로써 2세기 동안 궁궐 안팎에서 국왕 권위를 상징해왔던 眞殿의 기능 또한 끝나게 되었다.

    영어초록

    Halls of Royal Portrait (Jinjeon, 眞殿), the place that the state pay tribute to the spirit of those ancestor-kings who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state, was held in great regard in 18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Thirteen portraits of King Yoengjo were enshrined in the Halls of Royal portrait and several places where recalling the memories of his contribution to the state and his filial affection.
    In 19th Century, Kings of Joseon dynasty kept the policy for Halls of Royal Portrait. King Sunjo built Hwaryungjeon (華寧殿) and enshrined King Jeongjo’s portrait. King Heonjong enshrined his grandfather’s portrait in the Kyoungwoogung (景祐宮), the shrine of King Sunjo’s biological mother. Two kings of early 19th century followed the policy of the former kings outwardly.
    They didn’t make a fair estimation for the late kings’ achievement, and enshrined in the Seonwonjeon (璿源殿), Halls of Royal Portrait in the Palace.
    King Chuljong enshrined King Sunjo in the Yeongheejeon (永禧殿), the most important Halls of Royal Portrait, without a fair estimation. The bigger the building, the actual authority lowered. In King Gojong’s reign, King Chuljong didn’t join with the former kings in the Hall of Royal Portrait. In the succession to the royal throne, legitimacy was formed by the blood line, not by one’s virtue and achievemen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reat Han Empire (Taehancheguk, 大韓帝國), emperor Gojong extended the Seonwonjeon (璿源殿), Halls of Royal Portrait in the Palace, and enshrined King Taejo. Yeongheejeon (永禧殿)rebuilt in the Kyeongmo Shrine [景慕宮] nearby Changyeong Palace [昌慶宮].
    The entire place outside the palace which enshrined former kings’ portraits was abolished in 1907. Before the end of Joseon dynasty, the king of Joseon couldn’t display the late kings’ achievement beyond the palace wa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