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전소설의 처첩(처) 관계와 사양지심(辭讓之心) (The Wife-Concubine Relationship and “Sayangjisim” (辭讓之心, The Mind of Yielding) in Korean Classical Novel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5.01
34P 미리보기
고전소설의 처첩(처) 관계와 사양지심(辭讓之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74권 / 115 ~ 148페이지
    · 저자명 : 고은임

    초록

    본고는 고전소설의 여성인물이 처첩 관계에서 보이는 ‘사양지심’에 대해 논의한 연구이다. 규범적 삶을 지향하는 주동인물들은 처첩 관계가 형성되었을 때 역시 여도(女道)에 부합한 태도와 감정을 갖추고자 노력하는바, 사양지심을 발현해 남편에게 처나 첩을 권하기도 한다. <사씨남정기>의 사정옥은 후사를 위해 교채란을 남편의 첩으로 들이는데, 이때 사정옥의 양보와 배려 대상은 시가와 남편에 한정된다. 그것은 사양지심의 발현으로 여도의 실천, 도덕적 주체로서의 행위 양식이라 할 수 있지만, 동시에 시가에서 총부의 입지를 다지는 실리적 도구로 역할한다. <구운몽>의 난양공주, <유씨삼대록>의 진양공주, <쌍천기봉>의 계양공주는 모두 사혼하기 전 혹은 사혼 이후 남편에게 정혼자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남편과 정혼자의 혼인을 추진한다. 이들은 남편의 정혼자들이 파혼 이후 수절할 상황에 대한 공감과 연민을 느끼며 그들과 부인의 자리를 나누고, 연대한다. 남편의 축첩이나 외정(外情)이 허용되고 부인의 성애나 투기의 감정은 금기시된 조선사회에서 상층의 여성들은 남편의 여성 관계에 대응할 수 있는 마땅한 방법이 별로 없었다. 특히 유교적 교양을 습득해 도덕적 주체로 살고자 했던 여성들은, 남편의 불안정한 애정에 구애되지 않고 덕을 실천해 도덕적 우월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명예와 자존감을 지켜내려 했다. 그 일환으로 첩을 권하는 일도 감당했으리라 생각한다. 물론 차별적 규범인 여도는 수행하면 수행할수록 가부장적 체제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밖에 없으나, 그 한계에도 불구하고 여성인물들이 도덕적 주체로 자임하고 활약하는 서사는 그 의의가 크다. <유씨삼대록>의 진양공주는 적국인 장혜앵이 자신을 투기해 벌인 악행에도 그 처지에 공감하고 연민하며 투기가 인지상정임을 주장해 변론하고, <쌍천기봉>의 계양공주는 쟁총을 혐의해 혼인을 거부하는 적국 장옥경에게, 처첩 관계의 어려움을 공감하며 연대해 극복할 것을 제안한다. 그들의 여도는 가부장제의 요구에만 한정되지 않고, 때론 가부장제의 모순을 간파하고 남성이 아닌 여성 간의 연대를 이루는 결과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체제 순응적이라 여겨지는 서사에서도 여성들의 환경과 경험, 의식과 감정들이 반영되며 그들만의 문화가 조성되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Sayangjisim” (辭讓之心, The Mind of Yielding) as exhibited by female characters in classical Korean novels within the context of wife-concubine relationships. The protagonists often adhere to societal norms for women, even going so far as to suggest that their husbands take concubines or secondary wives. For instance, Sa Jeong-ok in Sassinamjeonggi (謝氏南征記) permits her husband to take a concubine to ensure an heir. This act can be interpreted as both a moral practice and a strategy to strengthen her position within the household. Similarly, examples from The Cloud Dream of The Nine (九雲夢) (the Princess of Nanyang), Yussisamdaerok (the Princess of Jinyang), and Ssangcheongibong (the Princess of Gyeyang) include instances where these women facilitate marriages between their husbands and pre-arranged fiancées. These characters empathize with the difficult circumstances of the fiancées, willingly sharing their roles as wives and building solidarity with them. Within the Confucian framework of the Joseon era, women had limited options to address their husbands’ extramarital relationships. As a result, they often focused on practicing virtue to establish moral superiority and preserve their dignity, even though such actions sometimes reinforced the patriarchal system. Despite this, these narratives also critique the contradictions of patriarchy and emphasize solidarity among women. For example, in Yussisamdaerok, the Princess of Jinyang shows compassion by understanding jealousy as a natural emotion, while in Ssangcheongibong, the Princess of Gyeyang proposes mutual support to overcome the challenges of the wife-concubine dynamic, demonstrating a spirit of collaboration and 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