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음챙김(mindfulness) 기반 교육: 기본 설계와 방향 (Mindfullness-Based Education: Its Basic Design and Direction)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9.09
39P 미리보기
마음챙김(mindfulness) 기반 교육: 기본 설계와 방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연구 / 41권 / 3호 / 219 ~ 257페이지
    · 저자명 : 황금중

    초록

    이 글은 우선 ‘마음챙김(mindfulness)’이 지·덕·체의 영역을 아우르는 전인적 성장을 위한 배움의 과정에서 그 주체들이 획득하고 견지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내면의 힘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교육은 곧 “마음챙김 기반 교육(mindfulness-based education)”일 필요가 있음을 주장했다. “마음챙김 기반 교육”은 마음챙김을 단지 배움의 한 주제로 삼는 교육이 아니라, 배움의 일 자체가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도록 이끄는 교육을 의미한다. 여기서 ‘마음챙김(mindfulness)’은 특정한 마음상태인데, 소음처럼 떠도는 내면의 생각과 감정의 흐름에 휩쓸리거나 자동반응하지 않고 오롯이 모아져 있는 주의(attention), 비판단적인 알아차림(awareness), 그리고 지금-여기 몰입의 상태를 그 기본 형식으로 하며, 여기에 마음챙김은 나와 세계의 실상에 대한 깊은 지혜의 요소가 배경을 이루는 구조를 지닌다. 이 마음챙김은 간단한 내면의 관리 차원을 넘어, 실체가 없고 감각을 흐리는 욕망과 분별상으로부터 마음을 자유롭게 하고 지켜내면서, ‘존재(being)’의 지평으로 이끄는 기제라는 점에 큰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흔히 교육의 목표로서 종종 얘기되는 지성, 도덕성, 창의성, 사고력, 비판력, 관계력 등은 이 ‘존재하기’로부터 온전하게 구현될 수 있으니, 이것이 주체를 존재 지평으로 이끌 수 있는 방법인 마음챙김이 교육의 근간이 될 만한 주요 이유다. 마음챙김에 대한 사상적 보고(寶庫)는 특히 불교가 보유하고 있으며, 현대불교와 심리학, 의학의 관점에서 재해석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특히 냐나포니카, 틱낫한, 카밧진 등에 의해). 그런데 마음챙김은 마음의 본래적 성향 및 능력과 연계된 보편적인 것으로, 결코 불교의 전유물이 아니고, 유가와 도가 등의 다른 사상 전통에서도 이에 대한 깊은 논의와 실천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성리학의 경(敬)이 불교의 사띠(sati)와 함께 마음챙김의 전형으로 포착되기도 하는데, 성리학에서는 “마음챙김 기반 교육”의 성리학적 버전인 “경 기반 소학·대학”의 사유를 보여주기도 했다(특히 주희나 이황에 의해). 현대 사회에서 “마음챙김 기반 교육”을 학교 단위에서 현실화하기 위해 “마음챙김에 대한 교육”과 “마음챙김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교육환경 조성”의 두 차원으로 나누어 접근할 수 있으며 이 글에서는 이와 관련한 몇 가지 방향이 검토되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irst notes that 'mindfulness' may be the most basic inner force that learners must acquire and maintain in the process of learning for holistic growth across the realms of intelligence, virtue, and body. Subsequently it claims that education needs to be “mindfulness-based.” “Mindfulness-based education” does not mean that mindfulness is merely a subject of learning but that education should lead the work of learning on the basis of mindfulness. Mindfulness here is a particular state of mind, which is not swept away by the flow of inner thoughts and emotions that flow like noises, but rather the attention, nod-judgmental awareness, and now-here immersion. It is also based on the elements of deep wisdom about the reality of the subject and the world. This conception of mindfulness can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goes beyond simple inner management, as a mechanism that leads to the horizon of ‘being’, freeing and defending the mind from desires and discernment that has no substance and blurs the senses. Intelligence, morality, creativity, thinking, criticality, and relationship, often referred to as the goal of education, can be fully embodied from this ‘being’, so mindfulness should be the basis of education, which is the way to lead the learners to the horizon of 'being'. Thoughtful treasury on mindfulness is especially held by Buddhism, and is widely reinterpreted and used in the light of modern Buddhism, psychology, and medicine(especially by Nyanaponika, N.H.Thich, J.Kabat-Zinn, etc.). Mindfulness, however, is universal in connection with the original inclinations and abilities of mind, and thus is not the legacy of Buddhism exclusively, and the trajectory of deep discussions and practices can be confirmed in other traditions of thoughts such as Confucianism and Taoism. In particular, the gyeong of the neo-Confucianism is captured as a model of mindfulness along with the Buddhist sati, which also shows the reason for the “gyeong-based elementary learning and great learning”, a neo-Confucian version of “mindfulness-based education.” (Especially by Zhu xi or Yi Hwang). In order to realize “mindfulness-based education” at the school level in modern society, there are two dimensions: that of “education about mindfulness” and that of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mindfulness”. Some directions on these two are reviewed in this artic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