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마음챙김에 기반한 명상상담 – 마음챙김상담과 선상담을 중심으로 (Buddhist Mindfulness Based Meditation Counseling - Focusing on Mindfulness Counseling and Seon Counseling)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5.03
27P 미리보기
불교마음챙김에 기반한 명상상담 – 마음챙김상담과 선상담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115호 / 181 ~ 207페이지
    · 저자명 : 윤희조

    초록

    본 고는 세 가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심리학적 마음챙김에 대하여 불교마음챙김의 필요성과 그 내용을 논의하고자 한다. 마음챙김은 불교에서 출발하였지만 심리학적 마음챙김이 주류가 되는 시대에는 불교마음챙김이 오히려 요청된다. 불교마음챙김은 올바른 마음챙김으로 그 내용은 사념처이고, 마음챙김에 ‘네 가지 대상’과 ‘확고한’이라는 계기가 추가된다. 이를 바탕으로 ‘네 가지 내부 대상에 대한 확고한 알아차림’은 불교마음챙김의 본래적 정의가 될 수 있고, 네 가지 각각에 대한 마음챙김은 불교마음챙김의 포괄적 정의가 될 수 있고, 내향성, 명료성, 즉시성, 정확성은 불교마음챙김의 구성요소가 된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마음챙김상담과 선상담의 내용을 논의하고자 한다. 마음챙김상담은 초ㆍ중ㆍ후기 과정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네 가지 내부적인 대상을 확고하게 알아차리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고, 선상담은 내부의 자불성 또는 자성을 신뢰하고 확고하게 아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내부’와 ‘앎’과 ‘확고하게’는 마음챙김상담과 선상담의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지만, 네 가지 대상과 자성, 알아차리다와 알다, 신뢰의 차이는 두 상담의 차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마음챙김명상상담과 선명상상담을 포괄하는 명상상담의 과정은 내부와 자성을 알아차리고 앎을 통해서 이미 받은 업을 변화시키고, 업 또는 번뇌를 강화시키는 기존의 기제를 약화시켜 업을 새로운 맥락 가운데 놓이게 하고, 느슨해진 업을 통해서 업의 변화를 더욱 이끌어 낸다. 명상상담은 업의 재맥락화를 통해서 지속적인 변화를 추구한다. 명상상담은 네 가지 대상과 자성이라는 내부 대상을 지(止)의 공통 대상으로 하고, 알아차림과 앎을 관(觀)의 공통 계기로 가진다. 지관은 명상상담의 기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s three points. First, it will discuss the necessity for and content of Buddhist mindfulness in relation to psychological mindfulness. Although psychological mindfulness originated from Buddhism and has become mainstream in the current era, true Buddhist mindfulness is what is called for. Buddhist mindfulness is the correct mindfulness, and contains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with the addition of "four objects" and "firmness" to mindfulness.
    Based on this, the "firm awareness of four internal objects" can be the essential definition of Buddhist mindfulness, and the mindfulness of each of the four can be a comprehensive definition of Buddhist mindfulness. Inwardness, clarity, immediacy, and accuracy are therefore the components of Buddhist mindfulness.
    Second, based on the above, the paper will discuss the content of mindfulness counseling and Seon counseling. Mindfulness counseling can be described as a process of continuously and firmly being aware of the four internal objects through the initial, middle, and final stages. Seon counseling can be described as a process of trusting and firmly knowing the inner Buddha-nature or self-nature. 'Internality', 'knowing', and 'firmness' can be considered common points between mindfulness counseling and Seon counseling. But the differences in the four objects and self-nature, being aware versus knowing, as well as trust can be seen as distinguishing points between the two counseling approaches.
    Third, the process of meditation counseling, which encompasses both mindfulness meditation counseling and Seon meditation counseling, involves noticing the internal and one’s self-nature. And through this knowing transforms the karma already received, weakens the existing mechanisms that reinforce karma or defilement, places karma in a new context, and through this loosened karma further induces changes in karma. Meditation counseling seeks continuous change through the recontextualization of karma. Meditation counseling uses the four objects and self-nature as common objects of Samatha (止, stopping and staying), awareness and knowing as common moments of vipassana (觀, looking and penetrating). Samatha and vipassana can be seen as the mechanisms of meditation counsel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