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시대, 그림책과 아동문학에 나타난 구술 서사의 귀환 (The Return of Oral Narratives in Picture Books and Children’s Literature of Digital Age)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9.12
37P 미리보기
디지털 시대, 그림책과 아동문학에 나타난 구술 서사의 귀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 25호 / 325 ~ 361페이지
    · 저자명 : 김지은

    초록

    작가 이수지는 ‘글 없는 그림책’은 대화로 가득 찬 매우 시끄러운 책이라고 말한다. 쓴다는 것은 말을 공간에 멈추는 일이다. 출판인쇄술이 발달하기 전에 존재했던 일차적 구술문화는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여 이차적 구술문화로 이동하고 있다. 어린이는 예로부터 구술문화의 적극적인 향유자였다. 새로운 구술성의 시대를 맞이하여 글 없는 그림책과 구술 서사적 특성이 강조된 아동문학 작품들이 다시 등장하면서 어린이 독자의 책읽기 경험이 말하기와 이야기 만들기의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림책, 특히 글 없는 그림책에서 발견할 수 있는 1차적 구술성과 아동문학 작품의 역사에서 특징적으로 드러났던 구술 서사의 경향을 살펴보고 그림책, 특히 어린이들의 글 없는 그림책 읽기에서 발견할 수 있는 구술적 연행에 대해서 알아본다.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해 최근 그림책과 아동문학 작품을 둘러싸고 새롭게 등장하는 독자들의 구술적 취향과 연행의 양식을 분석한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 신인 작가들이 창작한 아동문학 작품에 나타난 새로운 서사적 경향을 분석하면서 미디어 리터러시는 동화의 서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구술적 연행의 공동체성을 짚어보고 아동에게 문학적 구술의 경험이 주는 의미를 밝힌다.

    영어초록

    The artist Suzy Lee says that a silent book is a very loud book full of dialogues. To write is to stop a word in space. The primary oral culture, which existed before the development of print publication, is moving to the secondary oral culture in the digital age.
    This paper examines the primary orality found in picture books, especially silent books and the trends of oral narratives that are characteristic of the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Also it learns about children’s oral performance while reading silent books. Some Korean picture books have shown significant achievements in the silent book genre. Silent books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of words and sympathizing with pictures are becoming literary basis for children and adolescent readers around the world trying to communicate beyond the barriers of translation.
    With regard to media literacy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the oral tastes and performance manner of readers newly emerging around picture books and children’s literature. It examines how the media literacy in digital era affects the narrative of children’s stories in terms of the communal character of oral performance. This reveals the meaning of literary oral experience given to the child.
    Children and adolescents learn about the real world from books and can start to imagine a future world. Books also provide answers to philosophical questions such as “How will I live in the future?” Young readers’ interest lies in the upcoming changes. In that sense, they are the future readers who come with questions from far awa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ay the groundwork for basic analysis of literary experience of future readers living in the present digital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동청소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