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회법상 행정입법검토제도의 현황과 법정책적 과제 (Status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Review System under National Assembly Act and Its Legal and Policy Issue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2.08
25P 미리보기
국회법상 행정입법검토제도의 현황과 법정책적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 수록지 정보 : 행정법연구 / 33호 / 1 ~ 25페이지
    · 저자명 : 김용섭

    초록

    오늘날 사회의 급속한 변화는 잦은 정책변경을 유발하여, 행정입법의 제․개정과 폐지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행정부에서 제정되는 하위법령은 법률의 위임이 없거나 설사 위임이 있더라도 그 위임의 한계를 벗어나서 제정되기도 하고, 실제로 정책적 타당성이 없음에도 행정편의적 관점에서 제정되기도 한다. 행정입법은 법률보다 그 제정절차가 용이하고 행정부처가 국회의 간섭을 덜 받으면서 주도적으로 정책을 추진할 수 있기 때문에 심지어 법률에서 규율하여야 할 사항까지도 행정입법에서 규율하는 등 이로 인해 국민의 권익이 침해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우리의 경우 국회법상 행정입법검토제도가 시행되고 있는 바, 행정입법을 국회 상임위원회에 제출하고 대통령령 등에 대한 위법여부를 검토하여 중앙행정기관의 장에게 통보하는 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법령이 제정되거나 개정되기 전단계의 통제가 아니라 법령이 제․개정되고 난 후의 사후적인 통제제도로서 매우 약한 형태의 직접적 통제제도라고 할 것이다. 실제에 있어 국회 상임위원회에서 행정입법을 검토한 후 통보를 하더라도 행정부에서 이에 제대로 따르지 않는 경우가 많고, 설사 행정부처 공무원이 이에 응하지 않더라도 아무런 불이익이 없는 것이 문제시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미약한 국회법상 상임위원회의 행정입법검토제도의 방식으로는 행정입법에 대한 실효적인 통제를 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 글에서는 행정입법에 대한 의회통제의 강화라는 관점에서 행정입법검토제도의 현황을 분석하였고, 이와 더불어 법정책적 과제를 모색하면서 다각적인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2012. 7. 2 국회에 제출된 이춘석의원 대표발의의 국회법개정법률안에 대하여도 검토하였다. 행정입법에 대한 의회의 통제를 실효적으로 하기 위한 향후 과제로서는 첫째로, 사전적 통제 메커니즘을 개발할 필요가 있고, 둘째로 선진국의 입법례를 전향적으로 검토하여 우리 헌법체계내에 수용가능한 범위내에서 이를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셋째로 행정입법절차에 있어 절차적 통제를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고, 넷째로 적기에 시행되지 않는 행정입법에 대한 통제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다섯째로 법률 제정단계에 행정부에서 시행령에 담을 내용을 국회에 송부하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인 통제가 될 수 있다. 끝으로, 국회의 전문인력의 확충과 교육, 나아가 의회내 행정입법의 상시적 검토와 통제를 위한 총괄기구의 신설 등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oday's rapid social changes cause frequent changes in government policies and legislation, amendment and abolition of administrative laws. However, many subordinate laws are enacted by the administration either without legal authorization or beyond the legally authorized limits, or on the basis of administrative opportunism in spite of no political feasibility. As administrative legislation is easier than laws in procedures and can be led by the administration with less interven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even the matters required to be ruled by laws are provided for and accordingly civil rights are infringed.
    In Korea, administrative legislation review system is in force under the National Assembly Act, in which administrative legislation is submitted to the concerned standing committee of the national assembly for review of illegality for Presidential Decrees, etc. and notifying the concerned minister of the results. However, it is not a preliminary review system but an ex post facto review system in which rules are reviewed only after legislation or amendment. It is nothing but a direct control system whose effect is very weak and limited. As a matter of fact, there are a number of cases in which, although the concerned standing committee of the national assembly notifies the administration of its opinions on administrative legislation, the administration does not accept such opinions and any public servant in the administration not following such opinions is not given any disadvantage. Such a weak administrative legislation review system currently provided for in the National Assembly Act has limits to effective control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the current administrative legislation review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strengthening the national assembly's control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and tried to find legal and political solutions and diversified ways to improve the system. This study also reviewed the bill for amending the National Assembly Act introduced by Assemblyman Chunseok Lee on July 2, 2012.
    This study suggests the future alternatives for ensuring the national assembly's effective control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as follow:Firstly, a preliminary control mechanism is required to be developed;Secondly, it is required to study advanced countries' legislation cases in forward-looking manners to introduce them into our constitutional systemto an acceptable degree;Thirdly, control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procedures is required to be strengthened;Fourthly, it is required to set up a system to control enforcement decrees not in force in time;Fifthly, at a legislation stage, the administration is required to be given the duty to inform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contents of enforcement decrees in advance; and Lastly, i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number of experts and educate them and set up a permanent organization exclusively in charge of review and control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in the national assemb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행정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