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욤 아폴리네르의 영화 사유 - “이미지의 책” (Le cinéma comme “livre d’images” selon Guillaume Apollinair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21.12
26P 미리보기
기욤 아폴리네르의 영화 사유 - “이미지의 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프랑스학회
    · 수록지 정보 : 프랑스학연구 / 97호 / 163 ~ 188페이지
    · 저자명 : 조경희

    초록

    기욤 아폴리네르(1880-1918)는 영화를 ‘이미지의 책Livre d’images’으로 정의하고, “미래의 예술”로서 예견했다. 그의 사후 100주년을 맞은 2018년에 카롤 오루에의 기욤 아폴리네르의 영화Le cinéma de Guillaume Apollinaire와 장뤽 고다르의 <이미지 북Livre d’image>이 소개되어 아폴리네르의 영화 사유를 환기했다. 아폴리네르는 기고문과 인터뷰를 통해 영화 진흥 제도의 필요성을 알렸고, 문학 창작으로 영화를 조명했다. 세상을 떠나기 한 해 전인 1917년은 그가 영화 작업을 활발히 펼친 시기다. 강연문 “새로운 정신과 시인들L’esprit nouveau et les poètes”에서 대중성과 예술성을 충족할 장르로 영화를 선언하고, 시인 공동체에 영화 창작자의 실험 정신을 본받자고 호소했다. 또한, 영화 시나리오를 처음 집필한 시인의 한 사람으로 “라 브레아틴느 : 시네마-드람La Bréhatine : cinéma-drame”과 “이것은 프랑스에서 날아온 새 한 마리다.C’est un oiseau qui vient de France”를 집필했다. 문학과 연극 각색이 아닌 창작 시나리오를 고집했으며, 클로즈업, 디졸브, 생략 등 다양한 영화 언어를 기반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아폴리네르의 영화 글쓰기를 중심으로 그가 추구한 영화 형식과 의미를 질문한다.

    영어초록

    Guillaume Apollinaire (1880-1918) définit le cinéma comme “un livre d’images”. En 2018, Carole Aurouet publie un ouvrage intitulé Le cinéma de Guillaume Apollinaire. Dans le même temps, Jean-Luc Godard présente un film, Le livre d’image qui s’apparente à une référence implicite au poète. Ces deux œuvres mettent en lumière le rapport méconnu mais pourtant profond qu’entretient Apollinaire au cinéma et sont à l’origine de cette étude.
    Apollinaire évoque la nécessité d’une politique culturelle pour le 7e art dans des articles de presse tout en évoquant le cinéma dans ses romans et poésies. Dans son manifeste intitulé “L’esprit nouveau et les poètes”, il déclare le cinéma comme genre idéal. Il écrit ainsi deux scénarios intitulés “La Bréhatine : cinéma-drame” et “C’est un oiseau qui vient de France”.
    Cette étude se fonde sur l’hypothèse dans laquelle Apollinaire aurait découvert une puissance poétique au cinéma notamment pour la possibilité d’une esthétique de rupture créée par le montage qui lie entre elles des images hétérogènes, favorisant ainsi l’apparition de métaphores poétiques. À travers ses écrits sur le cinéma, nous interrogerons sur la forme et le sens du cinéma chez Apollinai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프랑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