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계시민주의의 창으로 재평가한 홍일식의 문화영토론 (Hong Il-Sik's Cultural Territory Theory re-evaluated from a Cosmopolitan Perspective)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24.03
43P 미리보기
세계시민주의의 창으로 재평가한 홍일식의 문화영토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111호 / 219 ~ 261페이지
    · 저자명 : 박치완

    초록

    경계의 벽들이 하늘을 찌르듯 치솟아 있다. 이는 세계시민주의가 동면 상태에서 깨어나지 못하는 직접적 원인이라 할 수 있다. 현재처럼 ‘하나의 세계’에로의 획일화가 강화되면 강화될수록 국가 간의 불평등, 문화적 차별은 비례해서 커질 것이며, ‘세계시민’은 본래의 얼굴을 영영 되찾을 수 없을지 모른다. 세계시민주의가 전 세계 지성계의 중심 화두로 부상하지 못하고 늘 주변부에서 맴도는 수준에 그치고 마는 원인도 여기에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어쩐 일인지 최근 들어 세계화가 세계시민주의로 가면을 쓰고 등장하고 있다. 글로벌 자본주의의 세계 지배를 세계시민주의를 동원해 정당성을 부여하고 있는 셈이다. ‘야만적 신자유주의’의 횡포가 세계시민주의마저 먹잇감으로 여기는 것이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지구촌의 실상이다. 반세계화 또는 대안적 세계화 운동이 비판적 세계시민주의의 형태로 진화할 수밖에 없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비판적 세계시민주의는 다양성과 개방성의 원리에 기초해 “‘다시 인류’를 연구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일찍이 ‘문화영토(cultural territory)’ 개념을 통해 국가 간, 문화 간 불평등의 온상이라 할 강대국 중심의 정치적·경제적 획일화 경향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며 민주적이고 인본주의적이며 평화지향적인 세계질서를 꿈꾼 홍일식의 문화철학을 새롭게 평가하는 자리를 마련해 보려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홍일식의 문화적 세계시민주의(cultural cosmopolitanism)는 개별 문화들이 갖는 특수성에 기반한 ‘문화영토’를 새롭게 건설하는 데 핵심이 있다. 이렇게 새롭게 구축된 지구라는 인류의 영토 위에서 이타주의, 인본주의, 평화공존주의를 실천하면서 인류문화가 진일보하는 데 홍일식의 영토문화론의 목표가 있다. 홍일식의 문화영토론은 기본적으로‘지구공동체’를 무대로 한 문화론이기에 “‘문화적’ 세계시민주의”이면서 동시에 ‘인류’의 구원을 목표로 한 철학이기에 “신인본주의적 ‘세계시민주의’”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border walls are soaring into the sky. This can be considered the direct cause of cosmopolitanism not emerging from hibernation. As the world moves towards greater standardization under the conceptof "Oneness," inequality and cultural discrimination between countries will grow proportionally, and “citizens of the world” may never have their original faces(all human beings). Here in lies the reason why global citizenship has not emerged as a central topic in the global intellectual world and always hovers on the periphery.
    However, mysteriously, globalization has recently been manifesting itself under the guise of cosmopolitanism. The world domination of global capitalism is disguised as cosmopolitanism. The reality of the global community we face today is that the tyranny of barbaric neo-liberalism regards even cosmopolitanism as prey. This is why the anti-globalization or alternative globalization movement has evolved into a form of critical cosmopolitanism. Critical cosmopolitanism can be summarized as the reexamination of "humanity" through the principles of diversity and openness.
    In this study, through the concept of “cultural territory”, Hong Il-Sik maintained a critical stance against the tendency of political and economic uniformity centered on powerful countries, which can be considered a hotbed of inequality between countries and cultures, and dreamed of a democratic, humanistic, and peace-oriented world order. This is why we want to provide a place to newly evaluate the cultural philosophy of Hong Il-Sik. The essence of Hong Il-Sik's cultural cosmopolitanism lies in establishing a new "cultural territory" rooted in the particularity of local cultures, and to promote human culture through the principles of altruism, humanism, and peaceful coexistence on the newly constructed territory called “Earth”. Hong Il-Sik's theory is “‘cultural' cosmopolitanism” because it is a cultural theory based on the ‘global community', and because it is a philosophy designed to preserve humanity, thus it can be classified as "neo-humanistic cosmopolit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