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야금병창 연구 동향 연구 -국내 석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Analysis of Gayageum Byeongchang Research Trends -Focusing on Master’s thesi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24.06
27P 미리보기
가야금병창 연구 동향 연구 -국내 석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간과자연학회
    · 수록지 정보 : 인간과자연 / 5권 / 1호 / 275 ~ 301페이지
    · 저자명 : 김현정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1982년부터 2024년 2월까지 간행된 석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가야금병창 연구 동향을 살펴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미진한 연구 분야를탐색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가야금병창에관한 석사학위 논문 148편을 선정하여 연구 방법은 연대별, 학교별, 주제별로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론은 연대별 가야금병창 석사학위 논문과 교육대학원 연구 동향을 살펴보니 1982년대는 총 7편, 2000년대는 총 49편, 2010년대는 총 66편, 2020년대부터 2024년 2월까지 총 24편으로 시대별 가야금병창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연구 되어지고 있었다. 학교별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은 중앙대가 32편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다음으로는 한예종에서 21편 연구되었으며 교육대학원석사학위 논문은 원광대 교육대학원이 8편, 우석대 교육대학원이 5편, 중앙대학교국악교육대학원 2편, 중앙대 교육대학원 1편으로 일반대학원 논문 수에 비에 현저히 낮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주제별로 크게 악곡 연구, 교육 연구, 기타 연구로 대분류하여 동향을 살펴본 결과 악곡 연구가 전체 75%를 차지하며 인물 중심 악곡분석 또는 가야금병창곡과 병창곡을 비교하거나 판소리와 병창곡을 비교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였다. 교육연구는 교수법 지도안과 대상별 지도안으로 소분류하여전체 33% 연구되었으며 그 밖의 유성기 음반, 기보법, 지역적 특색, 조율법 연구로전체 3% 연구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가야금병창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주제가 다양한 각도로 확장되어 현 사회의 교육적 환경이나 시류에부합하여 스마트 교육 개발 및 타 교과나 다른 학문과도 융합하여 새로운 연구 주제를 개발하여 시대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이다. 둘째, 연구 주제의창의성과 다양성 확보에 따른 논문의 질적 개선과 악곡 연구 향상을 위해 정확한작성 체계나 표기 형식의 체계적인 분류 기준을 확립하여 정리해야 할 것이다. 셋째, 다양한 대상으로 확대하여 연구되어야 한다. 연구 대상 동향을 살펴보면 교사, 일반인, 고등학생, 중학생,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은 보이나 노인, 유아,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은 찾기 힘들다. 연구 대상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넷째, 연령별 발달 단계에 맞는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 자료 개발 및 프로그램이 개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대중적 보급을 위해 가야금 악기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합리적인 가격의 가야금 악기가 보급되면 가야금병창 교육도 더욱 활발하게 진행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야금병창 학위논문의 현황을 이해하는 바탕이 되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여 학위논문의 질적 개선을 이룰수 있도록 도움이 되길 바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esearch on gayageum byeongchang, focusing on master’s theses published from 1982 to February2024, and to derive socio-educational implications, explore under-researched areas, and propos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 total of 148 master’s theses on gayageum byeongchang were selected and examined by period, school, and topic. Looking at the trends in gayageum byeongchang master’s theses and graduate school research by period, it was found that research on gayageum byeongchang became more active over time, with a total of 7 theses in the 1980s, 49 theses in the 2000s, 66 theses in the 2010s, and 24 theses from the 2020s to February 2024. In terms of schools, Central University had the most master’s theses on gayageum byeongchang with 32, followed by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with 21. When classified into major categories such as musical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 and other research, it was found that musical research accounted for 75% of the total, with most studies focusing on person-centered musical analysis or comparisons between gayageum byeongchang and other genres. Educational research accounted for 33% of the total, mainly focusing on teaching methods and instructional plans by target audience, while other topics accounted for 3% of the tota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Gayageum Byeongchang: First, research topics should be expanded from various angles to develop new research topics that align with the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or trends in society, integrating with other subjects or disciplines to actively respond to societal changes. Second,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ses and improve musical researc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ystematic classification criteria for accurate writing systems or notation formats based on the creativity and diversity of research topics. Third, research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various target audiences. While studies targeting teachers, the general public, high school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visible, there is a lack of studies targeting the elderly, infants, 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ystematic teaching methods and textbooks tailored to the developmental sta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audience should be actively developed and researched to ensure a balanced representation of research subjects without bias.
    Fourth, educational materials development an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studied so that systematic education suitable for each age-specific development stage can be achieved. Fifth,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ayageum musical instruments should be carried out for public distribution. If reasonably priced Gayageum musical instruments are distributed, Gayageum Byeongchang education will be more activ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master’s theses on gayageum byeongchang,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master’s the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간과자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