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槍術의 군사적 특성과『武藝圖譜通志』의 槍 武藝 (The Military Characteristics of Spear Martialarts and Spear Martialarts of 『Muyedobotongji』 in the Joseon Dynasty)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23.09
42P 미리보기
조선 槍術의 군사적 특성과『武藝圖譜通志』의 槍 武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군사 / 128호 / 53 ~ 94페이지
    · 저자명 : 최형국

    초록

    본 연구는 조선전기 창술의 군사적 위상과 활용 형태를 살펴보고, 임진왜란을 거치며 새롭게 조선군에 보급된 명군의 다양한 槍術에 대해 짚어본 글이다. 특히 조선 정조대 간행된 군사무예서인 『무예도보통지』에 수록된 長槍·竹長槍·旗槍·鎲鈀·騎槍·狼筅 등 6가지 창술의 기법상 특성과 진법 속에서의 움직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槍이 갖는 무기사적 의미와 군사무예로서의 가치를 통시대적으로 파악하였다. 그 중 몇 가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의 守城軍은 기본적으로 槍手와 弓手를 각각 50명을 기본으로 하여 편제가 이뤄졌다. 중앙군의 경우도 국왕의 근접 시위에 방패군과 연동하여 창수를 가장 많이 배치하여 활용하였다. 둘째, 보병용 창검술이 모두 무과시험 과목에서 제외되어 창술의 발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무과시험 과목 중 騎槍이 유지되어 그나마 기본적인 흐름은 유지할 수 있었다. 셋째, 임진왜란이 발발하면서 조선의 전술 및 무기체계는 많은 변화를 겪었다. 일본군의 조총과 단병접전술을 가미한 전술을 극복하기 위하여 척계광이 정리한 『기효신서』에 담겨 있던 창검법을 조선 방식으로 정리하여 『무예제보』를 편찬하게 되었다. 넷째, 正祖14年(1790)에는 『무예도보통지』가 간행되었으며, 이 병서에 정리된 여섯 가지 창술은 長槍·竹長槍·旗槍·鎲鈀·騎槍·狼筅 등으로 각각 장단병기가 서로 상생하며 전술에 활용 가능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ilitary phase and utilization form of Joseon spearmanship. It also summarizes various Chinese spearmanship techniques that were newly popularized by the Joseon army after the Imjin War. In particular, I specifically looked at the usage characteristics of six spearmanship techniques such as Jangchang(長槍)·Jugjangchang(竹長槍)·Gichang(旗槍)·Dangpa(鎲鈀)·Gichang(騎槍)·Nangseon(狼筅) in 『Muyedobotongji』. Through this, we investigate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Joseon Dynasty spear. And I grasped the value as a military martial arts diachronically. It's take a look at some of them. First, the soldiers who guarded the fortresses of Joseon were basically composed of 50 spearmen and 50 archers each. In the case of the central army, the number of spear soldiers was the largest in conjunction with the number of shields for the king's close guard. Secondly, it was difficult to expect the development of Spear technic, because all Sword and spear for infantrymen was excluded from the exam subjects of military service. Only the cavalry spear was maintained among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subjects, the basic content was still maintained. Thirdly, with the outbreak of the Imjin War, Joseon tactics and weapon systems underwent many changes. They had to overcome the attack method of the Japanese army, which was a mixture of guns and close proximity tactics. Therefore, it was decided to compile 『Muyejebo』 by compiling the spear sword method contained in 『Gihyosinseo』 compiled by Cheoggyegwang(戚繼光) in the Joseon style. Fourthly, in the 14th year of King Jeongjo (1790), 『Muyedobotongji』 was published. The six spear techniques newly organized here could be used for tactics by coexisting with each other with spears of various length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군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