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성기음반에 나타난 가야금병창 공연형태의 변모 양상 (Changes of Gayageum Byeongchang Performing Styles in SLP Record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0.08
29P 미리보기
유성기음반에 나타난 가야금병창 공연형태의 변모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과학기술 / 6권 / 2호 / 181 ~ 209페이지
    · 저자명 : 이윤정

    초록

    본 글은 유성기로 발매된 음반들 중 가야금병창에 관한 기록을 중심으로 이 시기가야금병창 연주자를 비롯하여 가야금병창에 사용된 레퍼토리의 해당 장르․활용 등을 통하여 유성기음반에 나타난 가야금병창의 변모양상을 살펴본 논문이다.
    유성기음반 가야금병창 취입 연주자는 강남중을 비롯하여 전체 36인이다. 가야금병창 최초의 연주자는 1910년경 미국 빅타사 녹음의 박팔괘이다. 또한 유성기음반 초기 가야금병창 연주자로 심정순이 있다. 이 두 사람은 모두 충청권 출신의 연주자다.
    현행 가야금병창의 계보에 해당하는 김창조나 한숙구 등은 전남 출신의 연주자인데,남도권의 가야금병창이 본격적으로 발매된 시기는 1927년경이다. 따라서 유성기음반가야금병창 연주자에 한하여 본다면, 이 시기의 가야금병창은 충청권과 남도권이 함께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현재는 전해지지 않지만 충청권의 판소리가 1939년까지 지속적으로 인기를 누렸음을 알 수 있으며, 남도권의 가야금병창보다 충청권의 가야금병창이 먼저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가야금병창 취입 곡은 거의 500여 곡에 이르며, 1910년을 시작으로 1940년까지지속적으로 발매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유성기음반 가야금병창 관련 음반 중 가야금병창 악곡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시기는 1932년부터 1935년까지이다. 따라서 유성기음반 시대의 가야금병창은 앞의 4여년이 가장 성행하였던 시대임을 짐작할 수 있다.
    가야금병창의 음반 발매의 초기인 1910년대에는 주로 박팔괘나 심정순․심상건․김해선 등이 활약하였으며, 1920년대에는 심매향․심상건 등이 활약한 것으로 보아이 시기까지는 주로 충청도 출신의 심씨 일가와 김해선이 주류를 이루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가야금병창이 대중들에게 인기를 얻으면서 1930년대에는 많은 가야금병창 연주자들이 음반 취입을 하는데, 오태석과 이소향이 가장 활발한 활동을 한 연주자이다. 이외에 김죽파나 김종기․정남희․한성기 등의 연주자들이 부각되었는데, 이들은 음반 취입활동을 비롯하여 방송으로 크게 활약한다. 이들이 활약한 1930년대 중반이 가야금병창의 최대 전성기라 할 수 있다.
    유성기음반에 녹음된 가야금병창 악곡은 시대적으로 다소 차이가 나타나기는 하지만, 판소리 다섯 마당의 대목이나 단가에서 크게 벗어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덧붙여 서도나 남도의 잡가, 각 지역의 민요, 창극도 가야금병창의 악곡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행 가야금병창의 경우 판소리, 단가, 신민요의 세 가지로 레퍼토리를 구분할 수 있는데, 장르적인 면으로 보아 유성기음반 시절과 크게 다를바는 없다. 그러나 각 장르에 속하는 세부 악곡의 수가 현행까지 현격이 줄어든 상태로 지속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traces the information on the Gayageum Byeongchang from the SLP records.
    It focuses on the players, repertoire and its application of othere genre to reshape the transition aspects of the Gayageum Byeongchang throughout times.
    The authentic lineage of contemporary Geyegeum Byoengchang includes Kim, Chang-Jo and Han, Suk-Koo. Both of them are from Jeolla provinces. It was aound 1927 when the release of the Geyegeum Byoengchang records got into main stream of record production.
    Therefore, considering with a limited scope of the Gayageum Byoengchang records players,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Geyegeum Byoengchang were present both in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Though Pansori is no longer found in Chungcheong area nowadays, it must be true that Pansori was popular through 1939 in the region and the Geyegeum Byoengchang started earlier in Chungcheong provinces than in Jeolla provinces.
    The number of Geyegeum Byoengchang recorded in SLP records reaches nearly 500 and the album continuously produced from 1932 to 1935 and the Geyegeum Byoengchang reached its peak during these four years.
    With extensive popularity of the Geyegeum Byoengchang nationwide, more number of the Geyegeum Byoengchang players joined album recording in 1930s’. Oh, Tae-Seok and Lee, So-Hyang were the most active players. Kim, Juk-Pa, Kim, Jong-Gi, Jeong, Nam-Hee and Han, Seong-Gi emerged as prominent players in this period and they not only did album recording but also participated broadcasting. With these excellent artists, the Geyegeum Byoengchang relished its peak in mid 1930s’.
    Though slight difference is found through times in the repertoire of the Geyegeum Byoengchang records, the overall range of repertoire stays within the five pieces of Pansori and Danga. Namdo Japka, folk songs of each region and Changgeuk were used for the Geyegeum Byoengchang from time to time. The repertoire of contemprary Geyegeum Byoengchang can be categorized mainly into three parts; Pansori, Danga, Sinminyo and this shows little discrepancy from the repertoire of Geyegeum Byoengchang contained in SLP records. It is still true, though, that the number of music pieces of each repertoire has been significantly reduced until no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과학기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