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판소리창본의 공연문화콘텐츠적 성격 (Characteristics of Pansori Changbon from the Viewpoint of Performance Culture Content)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08.02
44P 미리보기
판소리창본의 공연문화콘텐츠적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16호 / 331 ~ 374페이지
    · 저자명 : 홍순일

    초록

    이 논문은 공연문화콘텐츠의 관점에서 김연수가 신재효의 ‘판소리사설의 개작의식’을 계승하고, 오정숙이 김연수의 ‘판소리공연의 연극의식’을 전승하여, 관점상 신재효=김연수=오정숙의 관계가 성립된다고 보고, 판소리창본의 성격을 살핀 것이다. 판소리창본은 판소리행위주체자가 판소리공연에 겨냥하여 개발한 문화콘텐츠의 일종이다. 따라서 판소리공연의 기능환기와 문화콘텐츠개발의 의미부여는 판소리행위주체자가 소리판에서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가치를 감지하고, 쟁점에 대해 깨달은 바를 판소리창본으로 제안한 방식이라고 하겠다.
    ① 19세기 중반기 ≪신재효본≫은 해설자가 춘향모를 자랑하고, 춘향모가 변사또를 변호하지 않는 방식을 취한다. 또한 기존의 판소리를 개작할 때 ‘공연상황’에서 판소리광대로 하여금 편집의 효과를 판소리관중에게 묻게 한다. ② 20세기 중반기 ≪김연수창본≫은 해설자가 춘향모를 자랑하는 방식에서 춘향모가 직접 자신을 자랑하는 방식으로 바꾸고, 춘향모가 변사또를 변호하지 않는 방식에서 변사또를 변호하는 방식으로 바꾼다. 또한 극상황이 요구할 때 반복하여 관용문을 사용한다. 그리고 ③ 20세기 후반기 ≪오정숙창본≫은 해설자가 퇴장한 것이 ≪김연수창본≫과 같으나, 극상황이 요구한다고 하더라도 반복하여 관용문을 사용하는 것을 피한다.
    이처럼 판소리창본은 극상황에서 판소리광대들에 의해 갈등이 심화되고 해소되는데, 이러한 기능환기는 극적 아이러니를 통해 ‘희극정신’을 구현하는 일과 관련된다. ‘극본으로서 판소리창본의 성격’이 사회적 웃음을 통한 심리적 갈등의 해소로 변화되기 때문이다. 또한 판소리창본은 공연상황에서 판소리광대들에 의해 해설자가 퇴장하고 관용문이 생략되는데, 이러한 기능환기는 판소리창본이 ‘극적 아이러니’를 담게 되는 일과 관련된다. ‘판소리의 문화적 성격’이 상층으로 변화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Pansori Changbon in terms of performance culture content. Namely, Pansori Changbon is a sort of culture content which wa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Pansori performance by Pansori performer. Therefore, the functional awakening of Pansori performance and the meaning endowment of culture content development are methods through which the performer perceives the value of paradigm in Pansori and express what he/she realized from the issue as the Pansori Changbon.
    1) Pansori is a cultural resource and culture content is a possibility figure of Pansori culture resource. The Pansori performance based on the Pansori Changbon is the way on which the Pansori culture resource is developed into the performance culture content in terms of the cultural industralization of contents. The cultural industralization can be considered as another milestone to follow by which the Pansori culture resource should progress with culture contents in the 21st century of cultural era.
    2) In regard to the device through which a person has a conflict/confrontation against a person, Chunhyang-ga Changbon shows that conflict becomes severe through conversations between Chunhyang and Byeon Hak-do, and settled through conversations between Chunghyang and Lee Doryeong. In Shimcheong-ga Changbon, the conflict increases through conversations between Shimcheong and Shim Bongsa and Shimcheong's monologs, unraveled via Shimcheong's conversations with Shim Bongsa. For Heungbo-ga Changbon, conversations between Heungbo and Nolbo stir up conflict (including Heungbo's monolog), and their talks resolve the standoff between them. In case of Sugoong-ga Changbon, conversations between the hare and the turtle and between the hare and the king of sea intensify conflict, and the hare and the king's dialogs soothe conflict. Jeokbyeok-ga Changbon presents that, even if conversations between Jojo and Yubok and between soldiers trigger a soldier's conflict, conversations between Unjang and Jojo settle the conflict.
    3-1) In Pansori performance, Kim, Yeonsu succeeded to Shin, Jaehyo in 'adaptation spirit of the Pansori article', and Oh, Jeongsook took over Kim, Yeonsu's 'drama spirit of the Pansori performance,' and, in viewpoint, there are some relations established among Shin, Jaehyo, Kim, Heonsu and Oh, Jeongsook. Furthermore, the periodic features of Pansori Changbon become mentioned.
    In detail, ① conflict becomes intensified and settled in Shinjaehyo-Bon in the mid-19th century's edition. Shin, Jaehyo composed that the narrator praises Chunhyang's mother, and Chunhyang's mother does not defend Byeon Satto. In adapatation of the previous Pansori, the performer asks the effect of adaptation to audience in 'performance situation.'
    ② Kimyeonsu-Changbon of the 20th century intensifies conflict and eases it. However, Kim, Yeonsu, in contrast to Shin, Jaehyo, made the performer adapt the way in which he/she boasts of Chunhyang's mother into the way in which Chunhyang's mother boats of herself directly, and change the situation in which Chunhyang's mother does not defend Byeon Satto into the situation in which she defends Byeon Satto. If the drama situation is required, he repeatedly uses idioms.
    In addition, ③ Ohjeongsuk-Changbon of late in the 20th century, conflict becomes deepened and solved. However, Oh, Jeongsuk, on the contrary to Shin and Kim, evades repetitive use of idioms even in the requirement by the drama situation, even though the situation is the same as Kim in that the narrator makes his/her exit.
    3-2) In Pansori Changbong, the fonclict intensification and the conflict settlement function was focused by the Pansori performer in the drama situation. This relates to the realization of 'the drama spirit' through dramatic irony. It is because 'characteristics of Pansori Changbon as a scenario' are changed into the settlement of conflict through social laughter. Moreover, In Pansori Changbon, the Pansori performer calls audience's attention to the narrator's withdrawing and using idioms in the performance. This relates to the fact that Pansori Changbon contains 'dramatic irony.' It is becaus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ansori' are graded up to the upper cla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