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봉선사천의 참갈겨니(Zacco koreanus) 재도입 개체군과 원개체군 (조종천, 수동천) 간 생태학적 특징 (Ecological Characteristic between the Re‐introduction Population and the Original Population (Jojong Stream, Sudong Stream) of Zacco koreanus in the Bongseonsa Stream, Korea)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7.12
12P 미리보기
봉선사천의 참갈겨니(Zacco koreanus) 재도입 개체군과 원개체군 (조종천, 수동천) 간 생태학적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31권 / 6호 / 537 ~ 548페이지
    · 저자명 : 왕주현, 최준길, 이혁제, 이황구

    초록

    본 연구는 봉선사천에 재도입된 참갈겨니(Zacco koreanus) 개체군과 복원 개체군의 원 서식처인 조종천과 수동천의종조성 및 하천 수환경을 평가하고, 하천별 서식하고 있는 참갈겨니의 생육상태 및 생식능력을 비교ꞏ분석하고자 하였다.
    현지조사는 참갈겨니의 산란시기를 고려하여 2016년 6월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물리적 수환경 분석 결과 하천별 모두고도, 유폭, 수심의 차이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상구조는 Boulder, Cobble, Pebble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화학적 수환경 분석 결과 수온, pH, DO, BOD, EC 항목에서 하천별 모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것으로 분석되었다. 어류상 조사결과 봉선사천에서 총 3과 11종 530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조종천에서 총 4과 12종293개체, 수동천에서 총 4과 11종 361개체가 채집되었다. 하천별 모두 참갈겨니가 우점하고, 피라미(Zacco platypus)가아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유종은 하천별 모두 각각 6종씩 출현하여 50.0% 이상의 높은 고유종 빈도를보였다. 군집지수 분석결과 평균 우점도지수는 0.63(±0.05, BS)~0.72(±0.01, JJ), 평균 다양도지수는 1.55(±0.06, JJ) ~1.78(±0.11, BS), 평균 균등도지수는 0.71(±0.03, JJ)~0.76(±0.02, BS), 평균 풍부도지수는 1.61(±0.33, JJ)~1.73 (±0.24, SD)의 범위로 분석되어 조사하천별 군집지수의 차이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도 분석결과 75.4%의유사성을 기준으로 A와 B 두 개의 Group으로 구분되었으며, 조사지점별 어류상이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량적서식처 평가 지수(QHEI) 분석 결과 QHEI는 평균 151.0(±46.0)으로 양호한 서식처 환경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참갈겨니 개체군의 Length-weight 분석 결과 복원 개체군과 원 서식처 개체군의 회귀계수 b값이 3.0 이상으로나타났으며, 비만도 지수 기울기는 양의 기울기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복원 개체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원서식처 개체군의 회귀계수 b값 및 비만도 지수 기울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갈겨니 개체군의 Length frequency 분포를 분석한 결과 하천별 모두 안정적인 생활사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상대적으로 1년생 개체군에서복원 개체군 보다는 원 서식처 개체군의 성장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생식소중량 지수(GSI) 분석 결과 상대적으로 수컷과 암컷 모두 원 서식처인 조종천과 수동천의 개체군 보다 봉선사천 참갈겨니의 GSI median 값이 높은 것으로분석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ecies composition and the aquatic environment of Jojong Stream and Sudong Stream, which were the original habitats of Zacco koreanus population and restored population re-introduced in Bongseonsa Stream. It also compared and analyzed the states of the growth and reproductive ability of Z. koreanus habiting in each of the three streams.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in June 2016 which was known as the spawning season of Z. koreanus. The results of the physical aquatic environments showed the slight differences in altitude, width and depth of water among three streams, but the bottom structure was found to be quite different in the composition of the boulder, cobble, and pebble among the streams. The result of the physicochemical aquatic environment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ater temperature, pH, DO, BOD, and EC among the three stream. In the fish fauna investigation, 530 individuals of 11 species of 3 families were collected in Bongseonsa Stream, 293 individuals of 12 species of 4 families were collected in Jojong Stream, and 361 individuals of 11 species of 4 families were collected in Sudong Stream. All three streams were dominated by Z. koreanus and Z. platypus. Six Korean endemic species appeared in each of the three streams, showing the high occurrence rate of indigenous species of 50.0% or more.
    The aggregation index analysis revealed that the mean dominance index ranged from 0.63 (± 0.05, BS) to 0.72 (± 0.01, JJ), mean diversity index from 1.55 (± 0.06, JJ) to 1.78 (± 0.11, BS), mean evenness index from 0.71 (± 0.03, JJ) to 0.76 (± 0.02, BS), and mean richness index from 1.61 (± 0.33, JJ) to 1.73 (± 0.24, S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observed differences between the stream community indices were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The similarity analysis showed that 75.4% similarity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f A and B and that the fish fauna on each analyzed point was similar. The quant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analysis showed that the average value of QHEI was 151.0 (± 46.0), which means that it was a suboptimal habitat environment.
    The result of length-weight analysis of Z. koreanus populations showed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 b of the restoration population and the original habitat population were at 3.0 or higher while the condition factor had a positive slope.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slopes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b and condition factor of the original habitat population were larger than the restored population. The analysis of the length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Z. koreanus population revealed that all three streams maintained the stable life cycle although it was found that the growth rate of the original habitat population was faster than the restored population in the one-year-old class. The result of the gonadosomatic index (GSI) analysis showed that the GSI median value of the Z. koreanus population in the restored habitat Bongseonsa Stream was higher than the population in the original habitat Jojong Stream and Sudong Stream for both of males and fema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환경생태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