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결사의 계승과 발전을 위한 정혜결사와 참사람결사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Association of Samadhi and Prajna, and the Association of True-Being: focusing on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Buddhist Associati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5.12
29P 미리보기
결사의 계승과 발전을 위한 정혜결사와 참사람결사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66호 / 169 ~ 197페이지
    · 저자명 : 오종만

    초록

    불교는 삼국시대에 전래된 이래 전통문화의 근간을 이루었다. 전통문화의상당수가 불교에 근거하고 있으며, 불교는 한국인의 사유와 가치관에 큰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불교의 ‘결사’는 이러한 흐름에서 다소 벗어나 있다. 오늘날한국사회에서 결사는 불교의 잊어진 문화이며, 불교계에서도 결사는 단어만 존재할 뿐이다. 하지만 결사는 대표적인 불교의 공동체 문화로서 불교 내부와 외부를 함께 아우르는 운동의 성격도 지니고 있었다. 삼국시대부터 불교인들은신행활동이나 불사, 혹은 교단 개혁을 위해 뜻을 모으고 결사를 만들었다. 이러한 노력으로 타락한 고려불교를 정화하였고, 조선시대에는 정부의 탄압도 극복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민족의 독립과 왜색불교 극복을 위해 경허와 한암이결사를 주창하였다. 서옹스님은 현대사회의 여러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1990 년대 중반 참사람결사를 결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은 현재 불교계에서도 기억되지 않고 있다. 오늘날 한국사회와 불교가 처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대안으로서 결사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오랜 결사의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참사람결사가 역사 속의 결사를 계승하고있음을 밝히고, 그 의미를 연기, 평등, 참여의 관점에서 정리하였다.

    영어초록

    After Buddhism was introduc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Buddhism achieved a foundation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Many of the cultural Heritages are based on Buddhism. Buddhism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worldview of Koreans. But the Association of Buddhism is slightly off from this pact. These days, the Buddhist Association is the Forgotten Buddhist Culture in Korea. In the Korean Buddhism, Buddhist association exists only as a word. But the Association was the typical community culture and had the nature of social movements covering with the outer and inner Buddhism.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Buddhists had made the Association for the purpose of Religious Activities and the Reformation.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Rotten Buddhism in the Koryo Dynasty was purified. And Buddhism was overcame the Oppression of the Government in Joeseon Dynasty. In Japanese occupation, Kyungheo(鏡虛) and Hanam(漢巖) made the Association for the purpose of the Independence and the Purification of Japanese style Buddhism.
    Seoong(西翁) made the “True-Being” Association for the purpose to resolve the Modern Social Problems in the mid-1990s. But, these Associations are not remembered in Current Korean Buddhism. There has increased the necessity of the Association to overcome the crisis facing the Korean society and Buddhism in today.
    In this Perspective, this paper’s Purpose is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tradition of the Association. For it, it is proved that the True-Being Association was succeeded the Association of Samadhi and Prajna in Koryo Dynasty. And this paper was summarized its meaning in terms of Compassion, Interdependent Origination, Equ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