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茶神傳』에 나타난 通攝的 東茶意識 (A Study on Zen priest Cho-ui Consilient Eastern Tea Ritual - With a focus on the ‘Shingi(神氣)’ awareness in his Dashinjeon(茶神傳)-)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6.09
24P 미리보기
『茶神傳』에 나타난 通攝的 東茶意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84호 / 329 ~ 352페이지
    · 저자명 : 최진영

    초록

    차문화 제반의 다양함 속에서 결국 진리는 하나이다. 차가 지니고 있는 형이상적 가치와 형이하적 효용의 융합이다. 차의식에 있어 아는 것[知]은 별개의 것이 아니다. 양자가 상호보완적관계가 되어 그 각각의 고유한 역할들이 어우러질 때 비로소 차를 통한 참된 가치를 얻을 수 있다.
    우리나라 다도 철학의 거봉이라 할 수 있는 초의선사(1786~1865)의 차의식을 ‘통섭적 동다의식’으로 정의할 수 있는 데에는 그의 차생활 뿐만 아니라 수행자 생활에 있어서 하나로 합하되 그 속에 둘의 요소가 모두 살아 있는, 즉 상대적 이질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큰 조화[太和]를 이루는 철학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초의의 『다신전(茶神傳)』은 차나무의 일반적인 생장조건에서 구체적인 제다(製茶)방법, 물과 불의 선택 및 조절 법, 차를 끓이고 마시는 세세한 방법, 올바른 다도(茶道)의 요체에 이르기까지 차생활의 안과 밖을 아우른 우리 차와 차 문화의 진면목이 모두 담겨 있다.
    초의가 말하는 ‘신기(神氣)’의식은 차와 차인에 내재되어 있는 정신 본질이 서로 만나 도달한 최고 경계의 결정체(結晶體)라 할 수 있다. 차를 만드는 물리적 방법인 형이하자의 ‘기(氣)’를 성(誠)으로서 꿰뚫어 형이상자의 ‘신(神)’에 두루 미칠 때 신과 기 기와 신이 상화(相和)할 수 있다. ‘다신(茶神)’을 갖추는 접점(接點)이다. 이것이 초의의 통섭적 차의식의 바탕이다. 차라는 본질을 가지고 신과 기, 주관과 객관, 형이상과 형이하자의 경계가 허물어져 하나로 통하는 것이야말로 초의가 전하고자 했던 다신이다.

    영어초록

    There is ultimately one truth in the diversity of overall tea culture: fusion of metaphysical values of tea and its physical utility. Knowing is not separate in the tea awareness. When both the parties are in mutually supplementary relations and strike harmony between their respective unique roles, they can finally have access to the true values of tea.
    The tea awareness of Chouiseonsa(草衣禪師, 1786~1865), who is called the master of tea ritual philosophy in the nation, can be defined as "consilient Eastern tea awareness(東茶意識)" as it reveals the philosophy of great harmony in the middle of recognition of relative heterogeneity or the philosophy of combining tea life and ascetic life into one and letting the elements of both live in it.
    His Dashinjeon(茶神傳) depicts the real worth of Korean tea and tea culture in and outside the tea life, covering the general conditions for the growth of tea trees, specific methods of making tea, how to choose and regulate water and fire, details about how to make and drink tea, and key factors of the right tea ceremony.
    The "Deity and Energy(神氣)" awareness proposed by Choui(草衣) is the crystal of the highest level between tea and the spiritual essence inherent in it. When one penetrates metaphysical "Energy(氣)," a physical method of making tea, with Seong(誠) and spreads the outcome evenly to physical "Deity(神)," there can be mutual harmony between Deity and Energy. It represents a contact point equipped with tea deity(茶神) and makes the base of consilient tea awareness of Choui. When the boundaries break down between Deity and Energy,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and metaphysical and physical with the essence of tea, they flow through as one, which was tea deity that Choui tried to conve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