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령자를 위한 육류의 스마트 패키징 디자인이 소비자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mart Packaging Design of Meat for the Elderly on Consumer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3.08
10P 미리보기
고령자를 위한 육류의 스마트 패키징 디자인이 소비자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포럼 / 28권 / 3호 / 137 ~ 146페이지
    · 저자명 : 홍우정

    초록

    연구배경 지구 온난화로 세균성 식중독의 위험 증가율이 높아지면서 질병에 취약한 고령자 또는 만성질환 고령자의 경우 심각한 건강 문제를 고려하여 신선하고 안전한 육류의 스마트 패키징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를 위한 스마트 패키징 디자인 유형에 따라 소비자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각 변수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 대상자 선정은 65세부터 75세 사이의 남녀로 총 79부를 사용하였다. 설문 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크롬바흐 알파 값을 산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변수 간의 영향 관계 분석을 위해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먼저 측정항목들의 타당성의 경우 KMO 측도(=0.860)로 0.6 이상이며, Bartlett의 결과로 근사 카이제곱(=767.030), 자유도(=55), 유의확률(=0.00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로, 소비자 선호도 분석 결과로 회귀모형은 (F=77.550, p=.000), Durbin-Watson 지수는 (=1.596), 해당 지수는 (=1.257) 에서 (=4.772), 제품정보(=.557, p=.000) 소구형과 새로운 정보(=.260, p=.002) 소구형은 모두 소비자 선호도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구매의도의 분석 결과는 회귀모형은 (F=343.460, p=.000), Durbin-Watson 지수는 (=2.220), 제품정보(=.895, p=.000) 소구형은 구매의도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고령자를 위한 스마트 패키징 디자인 전략에 있어 제품정보 소구형과 새로운 정보 소구형의 패키징 디자인 즉 정보적 소구유형의 패키징 디자인이 소비자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고령 소비자의 경우, 건강과 안전 관련 식품의 정보 제공과 기능을 알 수 있도록 보여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Background With the increasing risk of bacterial food poisoning due to global warming, there is a growing concern about serious health issues among vulnerable elderly individuals or those with chronic diseases. Therefore, research on the design of smart packaging for fresh and safe meat is neede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preferences and purchase intention based on different types of smart packaging designs for the elderly.
    Methods A total of 79 participants between the ages of 65 and 75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urvey questions, Cronbach's alpha values were calculat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was confirmed with a Kaiser-Meyer-Olkin (KMO) measure of 0.860, Bartlett's test of sphericity (approx. chi-square = 767.030, df = 55, p = 0.000). Firstly, regarding consumer preference analysis, the regression mode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nsumer preference for both the product information subcategory (β = 0.557, p = 0.000) and the new information subcategory (β = 0.260, p = 0.002). The regression model had an F-value of 77.550 (p = 0.000), and the Durbin-Watson statistic was 1.596. Secondly, the analysis of purchase intention revealed that the regression model had an F-value of 343.460 (p = 0.000), and the Durbin-Watson statistic was 2.220. The product information subcategory (β = 0.895, p = 0.000)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Conclusion In the smart packaging design strategy for the elderly, product information appeal type and new information appeal type packaging design, that is, information appeal type packaging design,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Through this, in the case of elderly consumers, it was found that providing information and showing the function of health and safety-related foods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