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형 보완대체의사소통상징 학습 시스템 개발과 사용성 평가 (Development and Usability Evaluation of A Web-Based Korean AAC Graphic Symbol Learning System)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2.06
30P 미리보기
한국형 보완대체의사소통상징 학습 시스템 개발과 사용성 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 수록지 정보 :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 10권 / 1호 / 45 ~ 74페이지
    · 저자명 : 유세희, 홍기형, 김경양

    초록

    배경 및 목적: 다양한 AAC 도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AAC 상징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AAC 상징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개념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징의 학습및 훈련은 AAC 중재에서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장애 학생의 AAC 상징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한국형 AAC 상징을 활용해 상징 학습 시스템을 개발하고사용자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방법: 상징 학습 및 사용자 평가를 위해 상징에 익숙해지기, 상징 찾기, 상징으로 표현하기, 상징 묶음 연습하기(상위/하위 범주)의 5단계로 구성된 학습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웹 기반 상징 학습 시스템을 실제현장에 적용하고, 객관적인 지표를 통해 사용자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결과: 양적평가를 수행한 결과, 내용 만족도와 실행 만족도에서 평균 4.1의 높은 점수를 보였다.
    초기 상징 학습 단계에서 의사소통 의도가 있으면서 상징을 처음 사용하는 학습자에게유용하며, 교수학습 콘텐츠로써도 활용하기 유용하다는 질적 평가 결과가 나왔다. 많은유형의 장애 학생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뇌병변장애 학생의 접근성을 추가로보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 개발한 상징 학습 시스템을통해, 중재자 및 학습자의 AAC 도구와 상징의 활용 능력의 향상이 기대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Objective: Since messages and concepts are expressed through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symbols, learning and training are essential in AAC intervention. In this paper,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AAC symbols by people with communication disorder, we developed a web-based symbol learning system using Korean AAC symbols and examined user satisfaction. Method: For symbol learning and user evaluation, the web-based symbol learning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s of five stages: familiarizing with symbols, finding symbols, expressing symbols, and two stages for learning symbol classification. We conducted a usability test which consisted of quantitative evaluation and Focus Group Interview(FGI). Results: As a result of performing quantitative evaluation, an average score was 4.1 for satisfaction of content and operation. As an early symbol learning stage, it was found to be useful for first-time AAC users who were willing to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The system was also found to be useful as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 for AAC facilitators. It could be useful for many types of disabled students, although it was pointed out by some users that accessibility of students with brain lesions disorder should be additionally supplemented. Conclusion: Through the symbol learning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we expect that facilitators and learners can improve their ability to utilize AAC symbols and too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