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놀이와 문화정책 -호이징아의 ‘놀이’개념을 중심으로- (Play and Cultural Policies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Johan Huizinga’s Concept of “Pla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4.11
30P 미리보기
놀이와 문화정책 -호이징아의 ‘놀이’개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55호 / 341 ~ 370페이지
    · 저자명 : 김화임

    초록

    호이징아의 저서 『호모 루덴스』는 1938년에 쓰여졌으나, 오늘 날 더주목받고 있다. 그는 “놀이는 문화 자체보다 앞서 있는 것이고, 문화의토대이며, 요소”라는 테제를 내세우면서 서양의 문화사를 ‘놀이’의 시각에서 재조명하였다. 이때 어떤 ‘놀이’가 역동성을 지니고, 문화를 구성하고,생성하느냐가 그의 주된 관심사이다. 즉 ‘진정한 문화’를 만들어내는 ‘놀이’가 중요한 것이다.
    호이징아는 오늘날의 여가사회를 염두에 두고 ‘놀이’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던 것도, 문화정책과 놀이의 직접적인 관계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던것은 아니다. 그런데 그의 ‘놀이’의 중요성에 대한 주장은 ‘노동’에서 ‘여가’로의 패러다임 전환의 시대에 그 의미가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경제적 가치 창출의 측면에서도 ‘놀이’가 떠오르고 있는 시대이다. 탈산업사회에서의 경제는 재생산보다는 ‘새로운 발견’에 의존한다. 따라서 인간의 ‘창조적 능력’이 부상하며, 자발적 노동의 중요성이 한층 커지면서 ‘일’과 ‘놀이’의 관계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시점이다.
    우리나라 문화정책의 방향에서도 점차 놀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있다. 그러나 아직 호이징아 의미의 놀이 개념이 본격적인 정책 방향이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본 연구는 호이징아의 놀이 개념에 대한 형식적, 내용적 측면에 대한 면밀한 고찰을 바탕으로, 그것의 문화정책에의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창의적 환경조성으로서 ‘자연 어메니티’,축제 평가의 잣대로서의 ‘놀이’가 그 구체적인 방안 제시에 해당된다.

    영어초록

    Although it was published nearly eight decades ago in 1938, HomoLudens by Dutch historian and cultural theorist Johan Huizinga is morespotlighted today than ever. Huizinga reilluminated the cultural history of theWest from the perspective of play, while emphasizing his main idea: “Play isolder than culture and is the foundation and the element of culture.” One ofhis main concerns is what play is dynamic and what culture constitutes andgenerates culture.” For Huizinga, play is highly crucial in creating genuineculture.
    As a matter of fact, Huizinga neith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layin consideration of today’s leisure society nor mentioned the direct relationbetween cultural policies and play. Hi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play,however, has shed a new light on the contemporary times that require theparadigm shifts from labor to leisure.
    Besides, we are living in an era when the importance of play is morecherished than ever in terms of the creation of economic value. Economy inthe post-industrial society relies on “new discoveries” rather and“reproduction.” Therefore, with the promotion of men’s “creative power” and with the rising value of voluntary labor, the relation between “work” and“play” is newly reilluminated.
    Meanwhile, the cultural policies of South Korea are increasinglyconcerned about play. Nevertheless, the concept of play maintained byHuizinga has not fully developed into the policy goals in earnest. This studywill figure out whether Huizinga’s concept of play would possibly be appliedto the nation’s cultural policies based on careful examination of the conceptin terms of forms and contents. This paper will suggest “nature amenity” and“play” as a criterion of policy evaluation. One of the top priority concerns ofthis paper, however, will be the analysis of Huizinga’s concept of play interms of forms and contents with much focus on arousing concerns ofcultural policies on pl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