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메타버스 이용 특성 연구: 이용자의 자본 유형에 따른 구별짓기 형태 (A Study on the Metaverse Usage Patterns: Distinction by User’s Type of Capital)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3.04
42P 미리보기
메타버스 이용 특성 연구: 이용자의 자본 유형에 따른 구별짓기 형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방송학보 / 37권 / 2호 / 77 ~ 118페이지
    · 저자명 : 박현아

    초록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현실의 확장으로 바라보고 문화사회학 관점에서 메타버스 이용자들의 자본 유형에 따라 사회경제적 위치가 구분되고, 각 계층 마다 다른 계층과는 구분되는 구별짓기 전략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Z세대 40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FGI)와 개별심층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의 양이 많을수록 상대방과 나를 끊임없이 차별화하는 식으로 행동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경제자본은 아이템을 구매함으로써 메타버스 내 지위를 높이기 위한 불필요한 노동 시간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비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타버스 환경에 접근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보였다. 또한 문화자본은 게임만이 아닌 창의적인 방법으로 메타버스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계층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사회자본은 현실과 메타버스 간의 상관관계가 성립되지 않았는데, 문화자본의 양이 많은 계층의 경우 굳이 메타버스 안에서 선별된 이미지를 통한 나를 보여주면서 친구 수를 늘리기보다는 현실의 내가 확장되어 활용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대적으로 자율성을 지닌 듯 보이는 메타버스란 장(field)에서 자본 구성 형태에 따라 집단 간 상징투쟁을 벌이며 구별짓기가 일어나는 과정을 간접적으로 드러냈고, 이는 결국 메타버스도 현실의 확장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researched with the metaverse as an extension of reality and examined whether the socio-economic status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apital type of metaverse user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ociology and whether each class had a strategy to distinction it from other class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40 people of Generation Z were given focus group interviews (FGI)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IDI).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the study participants acted in a way that constantly differentiated themselves from the other party as the amount of economic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increased. Economic capital was differentiated in that it reduced unnecessary working hours to increase its status in the metaverse by purchasing items and at the same time approached the metaverse environment using expensive devices.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classes in that cultural capital uses metaverse not only in games but also in creative way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reality and the metaverse in social capital, and users with a large amount of capital were observed to expand and utilize reality rather than increase the number of friends by showing themselves in the metaverse. These findings indirectly revealed the process of distinction between groups by engaging in symbolic struggle according to the form of capital composition in the field of the metaverse, which seems relatively autonomous, which means that metaverse can be viewed as an extension of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방송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