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무속의 연구』 수록 <황졔푸리> 연구- 일제강점기 집의 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Hwangjepuri’ - The Appearance of the House in Seou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7.11
16P 미리보기
『조선무속의 연구』 수록 &lt;황졔푸리&gt; 연구- 일제강점기 집의 양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18권 / 4호 / 185 ~ 200페이지
    · 저자명 : 변지선

    초록

    이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향유된 ‘황제풀이’에 관한 연구이다. ‘황제풀이’는 서울지역에서 불렸으며 가옥신인 성주신과 집의 건축, 집치장에 관한 무속신화이다.
    연구의 대상자료는 『조선무속의 연구』에 실린 ‘황졔푸리’와 양종승 소장 ‘송병춘본 황졔푸리’이다. 이들 자료는 각각 1937년 1924년에 기록되었으므로 일제강점기 무속의례의 단면을 살피기에 적절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이 자료의 내용상 구성을 살폈다. 먼저, 『조선무속의 연구』에 실린 ‘황졔푸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황제에 대한 찬양과 축원’, ‘성주 본풀기’, ‘초년성주, 이년성주, 하계성주, 중계성주, 글막성주, 로자성주’, ‘소나무의 성장과 재목 운반’, ‘집터 다지기와 집짓기’, ‘집에 대한 묘사’, ‘대주에 대한 묘사’, ‘여러 신들 부르기’로 구성되어 있다.
    양종승 소장 ‘송병춘본 황졔푸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황제에 대한 찬양과 축원’, ‘성주 본풀기’, ‘소나무의 성장과 운반’, ‘집터 다지기와 집짓기’, ‘집에 대한 묘사’, ‘후손에 대한 기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자료의 내용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배경재본 황제풀이’에는 ‘3) 소나무의 성장과 재목 운반’, ‘5) 집에 대한 묘사‘가 더욱 자세하다. 부인과 대주에 대한 묘사가 자세히 나타나 있다. 부인의 거동과 의복, 장신구, 옷감 등이 자세히 묘사된다. ‘송병춘본 황제풀이’에서는 대주나 부인의 모습보다는 후손에 대한 묘사가 자세히 기술된다. ‘배경재본 황제풀이’가 현재 그 집에 살고 있는 대주와 부인을 중심으로 묘사된다면, ‘송병춘본 황제풀이’는 자손에 대한 갈망이 더 크게 기술된다고 볼 수 있다.
    ‘배경재본 황제풀이’의 전승자인 배경재는 서울 경운동 거주 큰무당이며 경운동은 사대문 안의 지역으로 배경재는 사대문 안에 살면서 양반들을 주고객으로 종친도 주고객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삼아 굿을 했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송병춘본 황제풀이’의 전승자는 ‘신통네할아버지’이고 전승지는 현재 서울 대흥동인 ‘동막’이다. 동막은 독을 굽는 사람들이 사는 곳이었으니 신통네할아버지의 주고객은 양반이기 보다는 부를 축적한 匠人일 가능성이 높다. 양반들이 향유자였을 배경재본 황제풀이보다 오히려 독 굽는 장인들이 향유자였을 ‘송병춘본 황제풀이’에서는 오히려 자손이 과거에 급제하고 번성하기를 기원하는 부분이 나타났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Hwangjepuri’ soul ‘enjoy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wangjepuri’ was called in the Seoul area and is a shamanistic myth about the God of house and house construction cours, interior of house.
    The subject of the study is ‘Hwangjepuri’ in 『Choseonmusokeo yaeonku』(B.C.1937) and Yang Jeong Seung's ‘Song Byungchun Bon ghwangpuri’(B.C.1924).
    I examined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s of this document. First, the composition of ‘Hwangjepuri’ in 『Choseonmusokeo yaeonku』 is as follows.
    It is a place where ‘the praise and condolence for the emperor(God of house)’, ‘the chant of the God of house’, ‘the growth of the pine tree and the transportation of the timber’, ‘the construction of houses and building houses’, ‘the description for owner of the house’.
    First, the composition of ‘Hwangjepuri’ in the research paper of ‘Yang Jong Seung's’ ‘Song Byungchun Bon ghwangpuri’.
    Praise and condolence for the ‘Yang Jong Seung's version of Song Byungchun ghwangpuri’ unraveling of the castle, growth and transportation of the pine tree, chopping and house building, depiction of the house, and origin for the descendants.
    The following is a comparison of the contents of this data. ‘Hwangjepuri’ in 『Choseonmusokeo yaeonku』is more detailed in ‘3) Growing of pine trees and transportation of lumber’, and ‘5) Describing the house’. The description of the wife and the owner of house is detailed. The behavior of the wife, clothing, ornaments, and cloth are described in detail. The owner of house's hobby and friendship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Song Byungchun Imperial Poem’, the description of the descendants is described in detail rather than the image of the grandmother or wife.
    Beakyungjae is a shaman and she songs ‘Hwangjepuri’ in colonial of japan. She living in Seoul's Gyeongun-dong. Gyeongun-dong is located in the area of the big four gates. Beakyungjae lived in the big four gates. Her costomers are nobles. The successor of ‘Yang Jong Seung's version of Song Byungchun ghwangpuri’ is ‘Shintongne's grandfather’ and the legend is currently ‘Dong-mak’ in Daeheung-dong, Seoul.
    ‘Dong-mak’ People who burn earthenware lived in ‘Dong-mak’, ‘Shintongne's grandfather's customers are maybe artians. Perhaps they had a lot of weal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