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가사의 유통과 가사집의 생성-가사육종을 중심으로 (The Circulation of Narrative Poems Called Gasa and the Creation of a Collection of Works of Gasa in the Late Joseon Era -Focused on 『Gasayukjong(가사육종)』-)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0.12
26P 미리보기
조선후기 가사의 유통과 가사집의 생성-가사육종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호 / 105 ~ 130페이지
    · 저자명 : 이상원

    초록

    이 연구는 『가사육종』의 원본을 발굴하여 학계에 소개하고, 이를 계기로 조선후기 가사의 유통과 가사집의 생성 문제를 고찰한 것이다.
    『가사육종』에 대해서는 그 동안 전사본(轉寫本)만 알려져 있었을 뿐 원본의 행방에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었다. 그런데 최근 『고금가곡』의 원본 발굴을 계기로 이와함께 일본 궁내청 서릉부에 소장된 『옥루연가』라는 제목의 필사본 가사집이 『가사육종』의 원본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에 자료를 입수하여 1928년 마에마 교사쿠(田間恭作, 1868~1942)가 작성한 해제를 참조하여 검토한 결과 이것이 아사미 린타로(淺見倫太郞, 1869~1943)가 소장했던 『가사육종』의 원본임을 알게 되었다.
    『가사육종』에는 여섯 편의 가사 작품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들은 3차에 걸쳐 필사된것으로 보인다. 1차로 필사된 <옥루연가>와 <농가월령가>는 사대부가 창작한 장편의음영가사이고, 2차로 필사된 <춘면곡>・<강촌별곡>・<어부사>는 원래는 사대부가사였으나 18세기 이후 서울의 가창공간에서 인기리에 불린 가창가사의 대표곡들이며, 마지막3차로 필사된 <노인가>는 서울의 유흥공간에서 중간계층에 의해 생성된 작품이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필사가 진행될수록 점점 사대부의 이상적 담론에서 중간계층의 현실적 담론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점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discovered and introduced the original version of 『Gasayukjong (가사육종)』 to academia and examined the circulation of Gasa, the narrative poem, and the creation of a collection of works of Gasa in the late Joseon era.
    Until recently, only copies of 『Gasayukjong(가사육종)』 had been discovered without anything known about the whereabouts of the original version. Then the recent discovery of the original version of 『Gogeumgagok(고금가곡)』 led the researcher to think that a hand-written collection of works of Gasa titled 『Okruyeonga(옥루연가)』 housed at Seoreung division of the Imperial Household Agency in Tokyo might be the original version of 『Gasayukjong(가사육종)』.
    Therefore, the researcher acquired and examined related data with reference to the introduction written by Maema Gyosaku(1868~1942) in 1928 and identified 『Okruyeonga(옥루연가)』 owned by Asami Rintaro(1869~1943) as the original version of 『Gasayukjong(가사육종)』.
    『Gasayukjong(가사육종)』 contains six narrative poems, which were handwritten through three rounds. In the first round, <Okruyeonga(옥루연가)>and <Nonggawollyeongga(농가월령가)>, long narrative poems for reciting created by literati called Sadaebu, were written by hand. In the second round,<Chunmyeongok(춘면곡)>, <Gangchonbyeolgok(강촌별곡)> and <Eobusa(어부사)> were written by hand. These works were initially enjoyed among Sadaebu but, after the 18th century, they became representative narrative poems for singing and gained popularity among people in Seoul. In the third round, <Noinga(노인가)> was handwritten. The poem was created by middle class people at adult entertainment places in Seoul. These six poems show that as the work to handwrite the poems progressed, the poems gradually turned from ideal discourse for Sadaebu into practical discourse enjoyed by the middle cla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