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어린이집 교사들의 영양지식과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A Survey of Teachers' Recognition on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 Education at Day-care Centers Kum Mi Park)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05.12
10P 미리보기
어린이집 교사들의 영양지식과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0권 / 6호 / 920 ~ 929페이지
    · 저자명 : 박금미

    초록

    본 연구는 유아 교육의 일선에서 근무하는 성남시 소재의 어린이집 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영양지식수준을 알아보고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을 연구 조사하여, 유아들의영양교육과 식습관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들의 효과적인 영양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되었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는 전원 여성이었고 연령은 미혼으로 20대가 가장 많았으며 민간어린이집 교사가 62.2%로 가장 많았고 보육교사 2급 소지자가 66.1%이었으며 근무경력은3년 미만이 대다수이었다. 보육교사 1인당 담당 유아수는10~19명이 44.7%이었으며 월 보수는 100만원 미만 받는 경우가 총 74.0%이었고 고졸과 전문대졸 보육교사가대다수를 이루어 총 76.2%이었다.
    2) 성남시 보육교사의 영양지식점수는 총점 20점 만점으로 하였을 때 평균 14.3 ± 2.2점으로서 100점으로 환산시평균71.5점으로 선행연구(Chang등 1998)결과인 서울시내 어린이집 교사들의 영양지식점수 평균인 69.4점보다 약간 높았다.
    3) 영양지식수준은 최종학력이 높아질수록 영양지식상위그룹에서는 점차 높아지는 상관관계(p < 0.01)를 나타내었고, 교사 1인 담당 유아수에 따라서도 영양지식수준은 유의적인 상관관계(p < 0.05)를 보였다.
    4) 영양지식 중 정답률이 가장 낮은 문항은‘하루 총 열량의 70% 정도는 당질로부터 섭취하는 것이 좋다’는 것으로 영양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정답률 70%미만의 여섯 문항과 영양지식수준과의 관계는영양지식 수준이 상위그룹으로 갈수록 각 문항에서 옳게 응답한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5) 보육교사의 93.0%가 보육시설로부터 영양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하였고 늦어도 만 3세부터는 영양교육을 실시해야한다고 응답하였다.
    6) 어린이집 교사의 거의 전원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양교육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영양교육을 별도의 시간을 내어서 실시해야한다고 생각하는 교사는 83.1%나 되었으나 실제로 영양교육을 실시한 경험이 없는 경우가 51.4% 나 되었는데, 이는 교사들은 영양교육의 중요성을 정말 인식하고 있지만 현장에서의 영양교육 실시가 미흡한 것으로나타났다.
    7) 유아의 영양교육은 교사의 50.4%가 영양사가 담당해야 한다고 응답하였고 교사가 담당해야한다는 경우는 35.2% 이었는데, 보육교사가 영양교육을 실시할 경우에는 영양교육을 하나의 교육 영역의 일환으로 교육활동에 포함시켜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8) 교사들은 영양교육관련 교과목을 교사가 되기 이전에접해 보았으며 81.5%가 영양교육관련 교과목을 수강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사의 약 60%가‘유아요리활동’이라는 교과목이 대학이나 보육교사교육원의 교육에서개설될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9) 영양교육의 주제는 식습관, 영양과 건강, 영양과 식품에 대한 지식, 식사예절의 순으로 중요도를 생각하고 있었고, 유아에게 영양교육을 실시할 영역은 유아요리활동 영역이 76.8%로 가장 높았으며 영양교육내용의 정보수집방법은 인터넷이 28.4%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영양관련과목 18.4%의 순이었다.
    앞으로 우리나라 어린이집은 더욱 증가될 추세이며 위탁될 유아수도 급증할 것으로 보여 양질의 보육교사가 요구되는 시점에서, 유아의 식습관 형성과 영양교육을 담당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칠 보육교사들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도에 비례하여 실지로 유아에게 충분히 영양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져야 하며 유아의 눈높이에 적합한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더욱 연구되어져 할 분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aimed at knowing the recognition of teachers’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 education at day-care centers in Seong-nam. Teachers were all female, most of whom were in the 20, and their careers were less than 3 years.
    And 76.2% of the teachers graduated from high school and junior college. The score of the nutrition knowledge was average 14.3 ± 2.2 (out of 20). It shows that they are lack of general information of nutrition. As the teachers had higher education, they scored higher nutrition knowledge levels (p < 0.01). It also says that there was meaningful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nutrition knowledge and the number of children they had (p < 0.05). 93% of the teachers said that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given when children are three years old, at least and most of the teachers thought that nutrition education is necessary and should be taught in a separate course. 50.4% of the teachers thought that nutrition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should be taught by a nutritionist, but 35.2% of them thought that the teachers themselves should be in charge of it. About 60% of the teachers thought that ‘Cooking Activity for Early Childhood’ course should be established and it is desirable that the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in the area of cooking activity for childhood at daycare centers. The teachers thought that dietary habit is the most important subject in nutrition education and they got more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rather than in the class related to nutriti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6): 920 ~ 929, 2005)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