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만수의 『投壺集圖』를 통해 본 조선 후기 投壺遊戱 양상 (A Study on the Entertaining Aspects of Tuho in the late Joseon Dynast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0.12
29P 미리보기
이만수의 『投壺集圖』를 통해 본 조선 후기 投壺遊戱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53호 / 517 ~ 545페이지
    · 저자명 : 김광섭

    초록

    이 연구는 조선 후기 사대부의 투호 遊戱 양상에 대한 탐색이 부족한데서 출발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참조한 자료는 『高麗史』와 『朝鮮王朝實錄』이외에, 李滉의 「投壺」, 李珥의 「學校摸範」, 朴泰輔의 『定齋別集』, 洪重三의 『朱文公增損鄕約通辯』 卷4 「投壺」, 丁若鏞의 『牧民心書』 등으로 제한되었다. 이로 인해 투호놀이가 ‘조선 시대 중엽까지 행해졌으나 말기에 기록이 보이지 않는다’고 파악하거나, 禮儀의 측면에서 투호를 인성 교육의 수단으로만 보아왔다.
    그런데, 조선 후기의 문집 자료와 유만주의 『흠영』, 이외의 雜技와 관련된 글들을 살펴보면, 여전히 투호놀이가 유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조선 후기 관각문인 李晩秀(1752~1820)는 새로운 『投壺集圖』를 만들어 자신의 逍遙法으로 삼았다. 이 『投壺集圖』는 규장각에 『續投壺譜』라는 명칭으로 소장되어 있으며, 지금까지 저자와 저작 연대가 미상이었다. 그러나 필자는 이만수의 문집 『屐園遺稿』에 동일한 내용의 「投壺集序」와 「後序」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投壺集圖』의 편자인 ‘書巢主人’은 바로 이만수의 호이기도 하다.
    이만수는 그의 종제 李田秀와 친우 여러 명을 모아 投壺會를 결성하였다. 이 투호회에서 사용한 투호놀이 규칙이 바로 『投壺集圖』이다. 그 이전의 투호놀이 전범은 『禮記』 「投壺」篇과 司馬光의 『投壺新格』이었으며, ‘禮儀’와 ‘中正’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만수는 雅趣(逸興)에 중점을 두었다. 특히 매 경기가 끝날 때면, 詩文 짓는 규칙을 정하였고, 시를 짓지 못할 경우 점수를 깎거나 계산하지 않는 새로운 규칙을 세웠다. 또한 『投壺集圖』의 저작 동기가 중국 명대의 장편소설 『金甁梅』에 나오는 投壺格에 대한 흥미에서 비롯되었다. 그리고 그가 새로 정한 投壺格의 각 명칭은 옛 글 중에서 斷章取義한 것인데, 본래의 의미와 상관없이 투호병에 꽂힌 화살의 형세에 기초하여 새로운 의미로 만들었다.
    투호놀이는 禮儀와 娛樂의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4~17세기 까지 투호의 의의가 주로 ‘治心觀德’, ‘一張一弛’, ‘心平體正’에 있었다. 반면 18~19세기에는 詩會나 雅會에서 술 마시는 흥취를 돋우거나, 옛 풍류를 즐기는 경향이 강해졌다. 이러한 흐름 속에 이만수는 司馬光이 경계하였던 ‘奇雋難得’의 병에 꽂힌 화살 모양을 오히려 부각시켰다. 이것은 송대의 理學에 기반한 투호와는 달리 투호의 기교, 계산 방법, 승부에 주목한 오락적 성격이 강화된 것이다. 이만수는 여기에 선진양한문, 『전당시』, 『고문연감』 등에 대한 독서취향, 그리고 시문창작에 대한 관심을 하나로 묶어 새로운 투호놀이 규칙을 만들었다.

    영어초록

    The initial point of departure for this article was my observation that there were very few studies on Tuho, or the game of pitch-pot, one of the traditional amusements in East Asia, especially on how it was performed and played in Korea. The source for earlier studies were limited to History of Goryeo,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k.a.,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or some essays that appear in individual writers and intellectuals of Joseon dynasty such as Yi Hwang, Yi Yi, Bak Tae-bo and Hong Jung-sam. Hence, the studies mostly concluded that Tuho was performed only until the mid-Joseon, or viewed it as a means of moral education.
    However, materials from late Joseon or writings on various pastimes and entertainments by Yu Man-ju show that Tuho was still quite popular in late Joseon. In particular, Yi Man-su compiled the Tuhojipdo(投壺集圖) and established it as his pastime. Until recently, Tuhojipdo was housed in Gyujanggak under the title of Soktuhobo (續投壺譜) and its date and author were unknown. I, however, found the prologue and epilogue to Tuhojip in Yi Man- su's personal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which were identical to those of Tuhojipdo and also revealed that the Tuhojipdo's compiler "Seoso juin (書巢主人)" was Yi Man-su's pseudonym.
    Yi Man-su gathered several of his friends and kin and organized a Tuho society. Tuhojipdo contained the rules and regulations that they followed in this Tuho society. Prior to this, the guidelines for Tuho were mostly provided by the Book of Rites or Sima Guang's New Rules for the Game of Pitch-pot and propriety and balance was emphasized in playing the game. However, Yi Man-su put stress upon the tasteful enjoyment. In particular, he added the new rule of composing a poetry after each game, and deducting the points if one failed to do so. His motivation for writing Tuhojipdo came from his interest in the rules of pitch-pot game that appeared in Jin Ping Mei(金甁梅) or The Plum in the Golden Vase. He named each rule after certain words and phrases from some old writings, but took them out of context and put new meanings to them according to the shapes and circumstances that the arrows were placed in the pot.
    Tuho has the aspects of both acquiring propriety and entertaining oneself. From fourteenth century to seventeenth century, the emphasis of Tuho was on 'controlling the mind and encouraging virtue', 'tension and relaxation' and 'balanced mind and upright body.' However, during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y, the emphasis shifted to livening up the atmosphere of parties or meetings. In this context, Yi Man-su give salience to the aspects that Sima Guang specifically showed concerns and warned about, such as the interesting and eccentric shapes in which the arrow is placed in the pot. It could be said that the entertaining aspect of Tuho was enhanced, unlike how it was played during the Song Dynasty when the principle was particularly emphasized in Confucianism. Yi Man-su created new set of rules for the game of Tuho by combining his reading of Pre-Qin and Han Dyansty writings, The Complete Tang Poetry(全唐詩), Guwen Yuanjian(古文淵鑑), etc. and his interest in poetry wri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