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웅덩이’와 소나무 어린이집 영유아들의 얽힌 놀이되기 (Entangled Play Becoming of ‘Puddles’ and the Young Children of ‘Pine Tree Nursery’)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4.06
21P 미리보기
‘웅덩이’와 소나무 어린이집 영유아들의 얽힌 놀이되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4권 / 11호 / 747 ~ 767페이지
    · 저자명 : 신연경, 백지혜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들과 웅덩이에서의 놀이경험을 Deleuze의 리좀철학과 Barad의 행위주체성 관점으로 살펴보고, 놀이가 지닌가치와 놀이의 양상이 어떻게 발현되는지 분석하여, 영유아 놀이의 대안적 접근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G시에 위치한 소나무어린이집 1세~5세 유아 46명을 대상으로 2023년 6월부터 8월까지 2개월간 참여관찰을 하였으며 또한, 유아 놀이에서 나타난 경험을 사진, 영상, 놀이기록 흔적과 마주치며 ‘빛나는’ 순간(MacLure, 2013)을 포착하는 후기질절연구방법을 따랐다. 수집된 자료는 드러난 사건을 다시 의미 흐름과 연결 짓는 과정을 순환 반복하며 유아들과 웅덩이의 얽힘의 양상은어떤 의미인지 분석하였다.
    결과 웅덩이와 영유아들의 얽힌 양상 결과는 웅덩이에 내재 된 기호와 마주치기, 웅덩이와 환경의 물질과 얽히기, 연령과 공간을연결하는 리좀 웅덩이 생성하기, 시간과 공간을 넘나드는 그리고...그리고...웅덩이 생성하기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들은 우연히 생성된 웅덩이에서의 놀이를 통해 물질과 마주침을 감각적으로 느끼며 새로운 관계를 형성한다. 역동적이고가변적인 웅덩이의 특성은 강도의 흐름에 따라 유아와의 ‘얽힌 내부작용’은 새로움으로 이어져 창조적인 놀이가 된다. 또한, 웅덩이와 유아와의 얽힘은 시간과 공간을 횡단적이고 수직적으로 이동시켜 계속 만나게 되는 행위성을 띠는데 이는 유아와 물질간의 얽힌행위주체성에 주목하여 유아교사가 놀이지원을 해야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play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in puddles through the perspectives of Deleuze's philosophy of rhizome and Barad's notion of agency. By analyzing the value inherent in play and how various aspects of play manifest, it aims to provide insights for alternative approaches to early childhood play.
    Methods From June to August 2023, a two-month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on 46 children aged 1 to 5 at Pine Tree Nursery located in G City. Additionally, a post-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employed to capture ‘glow’ moments (MacLure, 2013) by encountering the experiences revealed in children's play through photographs, videos, and traces of play records. The collected data underwent a recursive process of reinterpreting the emerged events, connecting them with the flow of meaning, and analyzing the implications of the entanglement between the children and the puddles.
    Results The entangled play patterns between puddles and young children revealed several outcomes: encountering the inherent signs within the puddles, entangling with the materiality of the puddles and their environment, generating rhizomatic puddles that connect age and space, and creating ‘and... and... puddles’ by transcending time and space.
    Conclusions Through play in the spontaneously formed puddles, young children sensually encounter materiality and form new relationships. The dynamic and variable nature of the puddles leads to novel intra-actions with the children, resulting in creative play. Furthermore, the entanglement between the puddles and the children traverses time and spac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fostering ongoing encounters. This highlights the agency embedded in the entangled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 and materials, suggesting the importance for early childhood educators to provide support for pl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