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간행의 수진본 小字 총지진언집 연구 (An Analysis of Chongji-Darani’s Small Size Edition Carved in small letters published in Goryeo Period)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7.09
41P 미리보기
고려시대 간행의 수진본 小字 총지진언집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71호 / 323 ~ 363페이지
    · 저자명 : 남권희

    초록

    이 연구는 고려시대에 목판으로 간행된 小字의 折帖 袖珍本 다라니에 대하여 시대별로 형태서지적인 관점에서 그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이미 통일신라때부터 다라니의 기능이 탑이나 불상에 납입할 목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다른 단행의 불교문헌이나 대장경보다 훨씬 더 이른 시기부터 제작 유통되었다. 또 다라니가 가진 신통력에 의하여 시대에 따라 선정을 얻고자 하거나 국가나 가문, 개인의 안녕을 기원하는 차원에서 수지독송의 기본 자료로 사용되었다.
    그 본문의 표기문자도 실담자(나가리, 데바나가리), 한문, 한자음의 차용되어 呪文과 부적, 도상 등의 형식으로 나타나지만 14세기 후반에 들어서면 짧은 경전도 다라니와 함께 포함되어 小字의 절첩본으로 같이 유통되는 경향을 보인다. 출판인쇄사의 측면에서 볼 때 작은 형태로 휴대할 수 있으면서도 현세의 기복적인 목적을 지닌 다라니경도 대장경이나 교장과 더불어 불교자료 발전의 한 축을 이루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had couducted research on Julchup Dharani Sutras written in small letters and produced following results.
    First, Dharani Sutras in 11th century found in Andong, Bogwangsa’s Buddha statue is consisted of two each papers. These papers does not belog to certain form of books and they are similar to Kimwanseop’s private collection and Okura’s private collection, which belongs to Tyoko National Museum.
    Second, Dharani Sutras in 12th century were mainly found in Vairocana buddha staute. Each Dharani Sutras in 1156 and 1159 consisted of 47 papers were carved by ‘Jonsim’ and ‘Onpyung’ and Beomseochongjijip which is similar to these Dharani Sutras published by monk Jawha in Bupsusa were also found. In addition, 1150’s Beomseochongjijip was produced, edited, and published in Gwangjepo, Pyeongyang by Sawon.
    Third, like the Beomseochongjijip published by Choieui wirtten mainly in Siddhamatrka, the reflection of Kibock Sinang made Dharani Sutras for personal prosperity became popular during the Military Regime in 13th century. Also, bulseo-Mārīcī-Dharani Sutra published in 1216, which is a kind of Dankyung includes Byunsangwha of Mārīcī.
    Fourth, Beomseochongjijip published in 14th century before the production of Gwonjabon and Julcheopbon includes several Dharani Sutras in one page like Beomseochongjijip found in Amitabha statue in 1302. Buljeongsimin-Dharani Sutra in 1306 was found in metal chest armor assumed to be produced for the protection of one’s body by the holy spirit of the Dharani Sutra. Also, there are Mārīcī-Dharani Sutra and Buddhist spells in Handbook edition of Buddhist book which includes many Buddhist articles like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produced and published by Angeukin and Mokam Chaewon in 1370.
    Fifth, the unprecedented Jeta-Dharani Sutra published in 1375 was written by Parkmyeon, donated by Gakin, Kimsahang, Parksungryang and Parkwonkyung, and carved by Leeinyeol and KImsehoon. This Dharani Sutra includes Prajnaparamita-hridaya Sutra, Charms of non-Birth Vinaya Sudra written by Jigong and Mārīcī-Dharani Sutra. Furthermore, most of the Dharani Sutra is written in Siddhamatrka Naagarii, however this Jeta-Dharani Sutra is written in Siddhamatrka Deva-Naagarii mostly and Sasipeibosu-Mantra is written down in Naagarii partly. Additionally, Parkmyeon had written down this Dharani Sutra in both Sanskrit and Chinese for readers.
    Besides, Buddhist books like Dharani Sutra’s features had moved forward partly to Joseon period from Buljeongsimin-Dharani to 18th century’s Saganpan edition Jeta-Dharani Sutra in Haeinsa.
    Even though ths paper performed general research on wood-printed Dharani Sutras in Goryeo period for the most part, Buddhist books like Beomseochongjijip were published in handwritten form, also diagrammed Dharani Sutras and Mantras were published widely in both handwritten and woodblock form from Joseon to Goryeo period. Later researches would analyze these Buddhist books, Dharani Sutras and Mantras on the perspective of bibliography, as well as Buddhist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