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재집』의 간행과 간행 활동 참여자 (Participants and the publication of 『Jeong Jae-jip』)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23.11
35P 미리보기
『정재집』의 간행과 간행 활동 참여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52호 / 331 ~ 365페이지
    · 저자명 : 우진웅

    초록

    정재 류치명(1777~1861)은 조선 말기 안동을 중심으로 학계를 주도한 대학자였다. 『정재집』을 간행할 때의 기록을 담고 있는 『간역시수창록刊役 時酬唱錄』은 문집 간행을 축하하며 읊은 시 62편을 중심으로 하여 지역 사회에 문집 간행을 알리는 통문, 문집 간행 시 임무 분담, 각수 명단 등이 수록되어 있어 간행 당시의 과정과 상황, 지식인들의 참여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본고는 여러 기록과 『간역시수창록』을 통해 『정재집』의 간행 시기와 간행 과정, 정재 문인과 후손 등 여러 인물들의 『정재집』 간행 시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정재집』은 정재의 사후 문인들이 여러 차례 편집·교정을 거쳐 1881년에 문집 체제로 완성하여 1883년 3월 말부터 4월 초 무렵에 각처에 통문을 보내 문집 간행 시작을 알렸다.
    『정재집』의 판각 작업은 1883년 4월 15일에 안동 황학산 용담사에서 시작하여 1884년 윤5월 7일 전에 판각을 마무리한 뒤 판각 교정에 들어갔으며, 늦어도 1884년 8월 9일 이전에 원집 36권의 간행을 완료하여 여러 곳에 반질하였다.
    『정재집』 간행 시 임무 분담은 전주류씨 문중과 전주류씨 문중 외 인물들의 임무를 각각 따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간행 활동에 참여한 문중 인물 72명은 9개의 임무로 나누었으며, 도도감 1명, 도감 8명, 교정도감 7명, 감각 11명, 감인 10명, 장책 15명, 직일 7명, 시도 11명, 도판 2명이 맡았다.
    문중 외 인물은 113명이 10개의 임무로 나누어 이돈우와 김규락이 간행의 총 책임자에 해당하는 도도감을 맡았다. 기타 도감 18명, 교정도도감 1명, 교정도감 18명, 교정유사 17명, 감각 10명, 감인 13명, 직일 27명, 시도 5명, 도판 2명이 맡았다. 특히 이돈우, 권연하, 김진성, 김도화, 권세연 등 많은 정재 문인들은 통문 작성과 주요 임무를 담당함으로써 문집 간행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판각 작업에 참여한 각수는 모두 44명으로, 안동을 중심으로 대구, 상주, 선산, 영주, 예천, 의성, 용궁 등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전체 각수의 총 책임자로 판각 작업을 총괄했던 임무인 도각수 전기원은 안동에 거주한 명성있는 각수였다.

    영어초록

    Jeong Jae (定齋) Ryu Chi-myeong (柳致明, 1777~1861) was a great scholar who led the academic community centered on Andong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Ganyeoksi-soochangrok (刊役時酬唱錄)』 which contains records when publishing 『JeongJaejib (定齋集)』, contains 62 poems written to celebrate the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In addition, it contains a text to inform the local community of the publication of literary works, division of duties when publishing literary works, and a list of people who have carved the woodblocks. In the end, through this data, the process and situation at the time of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and the participation of intellectuals can be found.
    This paper examined the related data and publication process of 『JeongJaejib (定齋集)』, the current status of participation in the local community at the time of publication of the literary collection, including Jeong Jae's friends and descendants, as well as related records and the text of 『Ganyeoksi-soochangrok (刊役時酬唱錄)』 『Jeongjaejip (定齋集)』 was edited several times by his disciples after Jeong Jae’s death, and after correction work, it established a book system in 1881.
    After that, from the end of March to the beginning of April 1883, ‘Tongmoon’ that is kind of notices were sent to each province, and books began to be published.
    On April 15, 1883, the process of carving the 『Jeongjaejip (定齋集)』 began at Yongdamsa Temple in Hwanghaksan Mountain, Andong.
    After completing the engraving work before May 7, 1884, he began the proofreading work. Subsequently, 36 volumes originally intended to be published before August 9, 1884 were completed.
    When publishing 『Jeongjae-jip』, the division of duties was divided into the duties of the Jeonju-ryu family (全州柳⽂) and those of people other than the Jeonju-ryu family (全州柳⽂). There were 72 people in the family who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activities.
    They were composed into nine tasks, with 1 dodogam (都都監), 8 dogams (都監), 7 gyojeongdogams (校正都監), 11 gamgaks (監刻), 10 gamins (監印), 15 jangchaeks (粧冊), 7 jikils (直日), 11 sidos (時到), and 2 dopans (都辦).
    There were 113 people outside the family. They were divided into 10 duties, and Lee Don-woo (李敦禹) and Kim Gyu-rak (⾦奎洛) were in charge of the general manager of the publication. In addition, 18 dogams (都監), 1 gyojeongdodogam (校正都都監), 18 gyojeongdogams (校正都監), 17 gyojeongyoosas (校正有司), 10 gamgaks (監刻), 13 gamins (監印), 27 jikils (直日), 5 sidos (時到), and 2 dopans (都辦) participated.
    In particular, Ryu Chi-myeong’s disciples, such as Lee Don-woo (李敦禹), Kwon Yeon-ha (權璉夏), Kim Jin-sung (⾦鎭誠), Kim Do-hwa (⾦道和), and Kwon Se-yeon (權世淵),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book’s ]publication activities, taking charge of writing texts and their main duties.
    A total of 44 people participated in the woodblock carving work, living in Daegu, Sangju, Seonsan, Yeongju, Yecheon, Uiseong, and Yonggung, centering on Andong. Among them, Jeon gi won (田基元) was in charge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oversaw the engraving work. He was a famous engraver living in And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