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遁村 李集의 학문 사상 연구 (A study on Dunchon Yi Jip’s Learnning and Though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08.12
32P 미리보기
遁村 李集의 학문 사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92호 / 37 ~ 68페이지
    · 저자명 : 류주희

    초록

    둔촌 이집은 고려 사회에 성리학이 정착하기 시작하던 시기에 李穡ㆍ鄭夢周ㆍ李崇仁 등의 성리학자들과 두터운 교분관계를 맺으며 우리나라 성리학 정착에 공헌하였다. 이들 대부분은 공민왕 16년에 成均館이 중영되고 이색이 성균관 대사성이 되었을 때에 學官이었던 사람들이다. 이집은 이들과 친분관계를 유지하면서 성리학에 깊이 심취하였으며 성리학에 상당히 조예가 깊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이집은 성리학적 이념을 모든 학문의 근간으로 평가하였고,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 학문으로 인식하였다. 그는 성리학의 실천윤리를 수용하여 그것을 현실사회에 구현하고자 노력하였다. 그의 이러한 실천성은 당대 모든 학자들로부터 높은 존경을 받았다.
    이집은 中庸을 중시하고 孟子 사상에 심취했으며, 은둔 지향성이 강하였다. 그는 體用論의 입장에서 중용을 파악하였다. 이는 현실적으로 중용의 도를 실천하는 공부와 수양에 비중을 두는 시각이다. 중화는 사람이 도달하려는 최고의 정신적 경지이다. 그는 중화와 중용을 중요한 내면적 가치로 여기고, 중용을 통해 중화에 이르기를 바랐다.
    중용의 진리는 사람들에게 무엇인가를 포기하도록 요구한다. 때로는 유연성을 요구하고 어느 때에는 達觀을 바란다. “애쓰지 않아도 的中하게 되고, 생각하지 않아도 얻게 된다”는 것처럼 매우 단순하기도 하다. 그래서 中和는 거짓이나 꾸밈이 없는 단순성이라는 평화로움 속에서 자연과 하나 되는 기쁨을 누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집은 일생토록 은둔의 삶을 추구하였다.
    그러나 이집이 행한 은둔은 세상을 등져서 사회와 격리된 삶이 아니다. 士大夫로서 이집은 사회와 동떨어져 있지 않았으며, 사회 현실에 끊임없이 관심을 두었다. 사대부의 은둔은 바로 현실사회의 모순에 대한 저항이면서 한편으로 세상 사람들을 깨우치는 무언의 호소였기 때문이었다. 이에 이집은 계속해서 사회 현실에 관심을 두고, 愛國ㆍ愛民의 사상을 시를 통하여 표현하고 있다. 이는 고려 후기 사대부로서 갖는 자부심과 책임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영어초록

    Dunchon Yi Jip, who was good friends with Sung Confucianism scholars such as Yi Saek(李穡), Jeong Mong-ju(鄭夢周) and Yi Sung-in(李崇仁) in Goryeo period, contributed to the settlement of Sung Confucianism in Korea. Most of them were academic officials when Seonggyungwan(成均館) was restored and Yi Saek was appointed as Daesaseong(大司成) by King Gongmin. Yi Jip kept close relations with them. He was deeply interested in Sung Confucianism and had a profound knowledge of it.
    Yi Jip believed that the idea of Sung Confucianism to be the basis of all studies as well as the fundamental study of ruling the country. By applying the practical ethics of Sung Confucianism, he tried to implement it in the real society. His practice was respected by all the scholars from that period.
    Yi Jip valued Jungyong(中庸) and admired the idea of Maengja(孟子). He lived a secluded life. He understood the idea of Jungyong from Cheyongnon(體用論)'s point of view. This is realistically a point of view, which places importance on the study and moral culture that practices the doctrines of Jungyong. Junghwa(中和) is a mental peak that people try to reach. He considered Junghwa and Jungyong as important inner values and hoped to reach Junghwa through Jungyong.
    The truth of Jungyong requires people to give up something. Sometimes it asks for flexibility, and sometimes Dalgwan(達觀), a philosophical view. Therefore, Junghwa is to enjoy the happiness of becoming one with the nature in the peacefulness that is the simplicity without lies. Thus, Yi Jip pursued a secluded life for his whole life.
    However, Yi Jip’s secluded life did not mean living completely isolated from the world. He as a Sadaebu(士大夫), was never apart from the society and constantly had an interest in social reality. The seclusion of Sadaebu was a struggle against the contradictions in real society, but on the other hand, it was a silent appeal to convince people. Yi Jip continued to take an interest in social reality and expressed his loyalty and love of people through poems. This appears to come from the late Goryeo Sadaebu’s idea of responsibility and pri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