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네덜란드 인형의 집 연구 (A Study of Seventeenth-Century Netherlandish Dolls’ Hous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9.02
28P 미리보기
17세기 네덜란드 인형의 집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37권 / 87 ~ 114페이지
    · 저자명 : 김소희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밝혀진 미니어처 예술에 대한 역사적 연구를 바탕으로 17 세기 네덜란드 인형의 집에 대한 담론분석 차원의 독해를 시도한다. 본 연구가 수행하는 독해는 인형의 집에 대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기반으로 한다. 첫째, 네덜란드에서 만들어진 인형의 집들은 잘 정돈된 상인가옥의 내부구조를 형상화한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동시대 네덜란드 가정의 실제 실내구조가 아닌 수집가의 캐비닛 전통을 따르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동시대 수집가의 캐비닛은 화려하게 장식 된 찬장형식의 구조물로서 내부에 진귀한 예술 작품 또는 자연에서 얻은 희귀종 동식 물을 수집, 보관, 전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17세기 네덜란드에서 제작된 인형의 집들 역시 내부에 미니어처로 제작된 실내 장식과 가구가 배치되어 있고, 평상시에는 문과 커튼으로 닫혀있다는 점에서 수집가의 캐비닛과 매우 유사하다. 둘째, 인형의 집은 네덜란드인들이 실내, 즉 가정의 이상적인 모습을 보여주려는 욕구를 형상화한다. 이는 인형의 집이 당대의 실제 가옥과 다른 방 구조와 크기, 위치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인형의 집의 구체적 기능과 목적을 파악할 수 있다. 부유한 상인계 급들에 의해 만들어진 네덜란드의 인형의 집은 왕족들의 쿤스트카머 수집품으로 생산 된 독일의 인형의 집과 구별된다. 네덜란드의 인형의 집은 이들 신흥계급을 중심으로 불었던 자국 내 수집과 전시에 대한 열기와 연관하여 이해해야 한다. 특히 적지않은 여성 후원자들이 자신의 집을 방문한 사람들을 매료시키기 위한 인형의 집을 제작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에서 언급한 사실 때문에 네덜란드 여성들은 인형의 집을 통해 자신을 타인과 구분시키며 자신만의 또는 자신이 속한 계층의 고유한 표상적 영역을 구축 하려 했다는 가설이 존재한다. 17세기 네덜란드에서 생산된 인형의 집의 주문자는 왕족 또는 귀족층으로 이루어진 궁정의 여인들이 아니었다. 이들은 모두 부유한 도시의 의원, 상인, 장인의 딸 또는 아내들로서 부유한 상인계층 또는 엘리트 부르주아 계급이 었다. 이들의 대부분은 서로를 잘 아는 작은 사회 관계망 안에 속해있었으며, 이 관계 망을 통해 자신들의 고유한 정체성을 더욱 확실하게 구축하였다. 본 연구가 수행하는 담론적 독해는 여성들의 이같은 욕구가 실제 인형의 집 작품에 어떤 방식으로 구체화 되었는지 파악하려는 시도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Dutch doll’s houses from the seventeenth century by examining the economic and ideological conditions of the times of their production. By so doing, it aims to provide a solid case of historical research for the discourse of Western miniature art. The present study pays attention to three peculiar aspects of the Dutch doll’s houses. First, although the doll’s houses appear to miniaturize the interiors of well-organized houses owned by wealthy merchants, they were in fact modelled after collectors’ cabinets rather than the actual Dutch houses. The collectors’ cabinets were highly decorated display cupboards in which precious pieces of artworks or rare kinds of animals and plants were placed for private exhibition. The seventeenth-century Dutch doll’s houses share similarities with the collectors’ cabinets in that they also contain miniaturized interior decorations and various pieces of furniture, with their outer structures being left closed with doors and curtains. Second, the doll’s houses were so designed that they represented the owners’ vision of ideal home. One may affirm the goal in the fact that the rooms in the miniature houses were configured with different size and structure from those of real houses at the time. The Dutch doll’s houses were commissioned by wealthy merchant classes, whereas in Germany doll’s houses were produced for the royal families’ Kunskammer collections. Thus, the Dutch doll’s houses originated in the newly-rising moneyed classes’ fervor for the collection and exhibition of rare and precious items. A good few women sponsors hired artisans to build their own doll’s houses and took pride in the state-of-the-art mini-configurations of household paraphernalia. Lastly, the above facts enable one to hypothesize that the Dutch upper-middle-class women sought to construct their individual as well as class identities by adding ‘personal touch’ to their doll’s houses. The orderers of the doll’s houses in the seventeenth-century Netherlands were neither royal families nor aristocrats. Rather, they were wives and daughters of councilmen, merchants, and engineers: that is, bourgeoisie. These families of wealth and social status knew each other, forming small social circles in which they further consolidated their exclusive relationships. They naturally developed their own cultural mores and value system.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doll’s houses reflect, directly and indirectly, the bourgeois world-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