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유사(三國遺事)』와 『사석집(沙石集)』에 나타난 신불(神佛)관계 양상 비교 (Comparison of Aspects of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Buddha(神佛) shown on 『Samguk Yusa(三國遺事)』 and 『Shaseki-shu(沙石集)』)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4.01
39P 미리보기
『삼국유사(三國遺事)』와 『사석집(沙石集)』에 나타난 신불(神佛)관계 양상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30권 / 73 ~ 111페이지
    · 저자명 : 최귀묵

    초록

    이 글에서는 한국의 『삼국유사』와 일본의 『사석집』에 나타난 신불관계 양상을 비교 고찰했다. 비슷한 시기에 이루어진 두 저작은 불교설화집이라는 성격을 공유하고 있으며, 설화작품을 통해서 신불관계 양상을 다채롭게 형상화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어 비교 대상으로 삼기에 적절하다고 본다. 비교 논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삼국유사』에는 신불관계의 여러 유형이 불교설화로 형상화되어 있는데 『사석집』에는 본지수적설(本地垂迹說)이 집중적으로 표명되고 있다. 『삼국유사』에서 불보살과 신은 ‘수직적’ 차등관계로 설정되어 있는데 반해서 『사석집』에서 신불은 ‘병렬적’ 대등관계로 잡거(雜居)하고 있다. 『삼국유사』에서 중생은 불보살의 진신 참견(參見)을 열망하고,『사석집』에서 중생은 화신(=신)을 더 친근하게 여긴다. 『삼국유사』에서 신불은 주로 화신으로 현현하지만, 『사석집』에서 수적(垂迹)인 신은 시현ㆍ신탁ㆍ현몽한다. 『삼국유사』에서 신불은 ‘(현세의) 부정과 초월’을 지향하는데, 『사석집』에서 신불은 ‘지금, 여기’도 소중히 생각한다.
    『사석집』에서 확인할 수 있는 신불관계 유형은 중국에서도 발견된다. 일본의 신도, 중국의 도교가 신불관계 정립에 깊이 관여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라고 생각된다. 장차 중국과 월남을 포함한 동아시아 전역으로 고찰의 범위를 넓혀 가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study comparatively investigated aspects of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Buddha(神佛) shown on 『Samguk Yusa(三國遺事)』 and 『Shaseki-shu(沙石集)』. Two writings made in similar time have a character of Buddhist legendry in common. As both embody aspects of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Buddha(神佛) colorfully, it would be appropriate to compare two books. The comparison results are as follows.
    In 『Samguk Yusa』, several types of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Buddha(神佛) are embodied in Buddhist tales. In 『Shaseki-shu』, the theory of honji suijaku(本地垂迹說) is intensely expressed. In 『Samguk Yusa』, Buddha Bodhisattva and god are set as 'vertical' differential relation while god and Buddha(神佛) in 『Shaseki-shu』 live together in 'parallel' equal relation. All the beings in 『Samguk Yusa』 long for seeing real body(眞身) of Buddha Bodhisattva. In the 『Shaseki-shu』, all the beings feel more familiar to transformed body(化身) which is a god. God and Buddha(神佛) in 『Samguk Yusa』 appear mainly in transformed body(化身). God which is local manifestations(垂迹) in 『Shaseki-shu』 reveals, delivers an oracle, appears in dream. God and Buddha(神佛) in 『Samguk Yusa』 aims at 'negation and transcendence of the present world' but god and Buddha(神佛) in 『Shaseki-shu(沙石集)』 put importance on 'now and here' too.
    Type of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Buddha(神佛) which can be identified in 『Shaseki-shu』 is found in China. It is thought that as Shinto(神道) in Japan and Taoism in China were deeply involved in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Buddha(神佛), this happened. In the future, it is intended to expand scope of the study to whole East Asia including China and Vietna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