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지속성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Sustaining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an innovative elementary school in S. Korea over a decade : A qualitative case stud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6.07
25P 미리보기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지속성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 / 23권 / 2호 / 127 ~ 151페이지
    · 저자명 : 정바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지속성에 관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다양한 차원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지속성에 주목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된 연구 문제로 전문적 학습 공동체는 어떤 과정을 통해 지속되는가에 대해 살펴보았고, 하위 연구문제로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 지속 과정에서 어떤 도전과 갈등, 딜레마가 발생하고 이는 어떻게 다뤄지는 지에 주목하여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서 공립학교로는 보기 드물게 오랜 시간에 걸쳐 전문적 학습 공동체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한 초등학교에 대해 질적 사례 연구 기법을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지속과정은 평탄하고 순조로워 보이는 표면과 달리, 실제로는 울퉁불퉁하고, 우연적이며, 갈등으로 점철된 험난한 과정이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개념에 대한 구성원간의 상이한 이해(특히 공동체 개념과 전문성 개념 이해를 둘러싼 긴장)와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실천과 기존 관료제적인 학교 문화 사이에서의 충돌 등으로 인해 갈등이 종종 빚어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교육정치학 연구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서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 실천 및 지속 과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갈등과 딜레마를 미시정치학적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해결책을 구안하기 위한 연구가 요청된다고 제안하였다. 한편, 전문적 학습 공동체 연구 관련 시사점으로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개념을 단순히 기능적 차원에서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교사들의 공동의 노력과 연수라는 차원에서 접근하려는 기존의 인식과 실천의 틀에서 탈피하여, 학교 체제와 문화의 재구조화라는 의미까지 포괄하는 차원에서 보다 폭넓게 재규정하고 이에 적합한 실천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실천적 차원에서 고려해 볼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 참여 대상의 보다 포용적 확대와 함께, 전문적 학습 공동체 시행 초기 단계부터 공동체 유지와 교수-학습 개선을 균형 있게 추진하기 의도적인 시간 배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ustainability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PLC). Although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fostering and developing PLCs as a means to counter top-down reform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the issue of the sustainability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s still in its infancy within the literature of PLC. This study addresses the issue of sustainability of PLC by asking: How does a school become a sustainabl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ver time, and what kind of challenges and dilemmas have been involved in the process of sustaining PLC over time. Data derived from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n elementary school in which the PLC has been sustained more than a decade in the context of the centralized and bureaucratic public school system in South Korea. Finding reveals that in its journey towards sustain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over a decade, the caring community and change driven PLC which the elementary school consciously established itself from the beginning was inadvertently followed by a more pedagogically-driven PLC model in a somewhat serendipitous and dialectical manner in the face of the emerging conflicts among communities members over the competing goals between school restructuring and instructional/curricular improvement. This finding identifies potential conflicts and tensions involved in navigating and reconciling its aspiring extended community-based and school change driven PLC approach with the emerging pedagogical PLC in sustaining a PLC over time. It suggests that to be a sustainable it is crucial for a PLC to strike a balance in energy and time between community sustenance and instructional innovation from the outset and that it is also important to remain inclusive so that the membership of a PLC can be extended beyond the teachers. By challenging current studies that conjure a overly optimistic image of the PLC and underplay the conflicts and challenges within the PLC approach, this study provides more realistic and articulated understandings of a sustainable PLC and its micro-political and power-ridden process and in doing so suggests a promising new research avenue for the politics of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6 오전